Wall of Sorrow




2018
mortar cement on steel structure, water pump unit
90x600x800(H)cm  
square: 1500x1500cm

Is a wall something that is public? Even if a private individual built the wall, if the wall divides the border between private and public land, then would only one side of the wall be public? Is a wall built on private land not public? What are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a public object to exist in public space? Can we approach a wall in public space much like an object of public art? If we are to turn the wall into public art, can we accept that wall as art?

When the artist was asked to install a work in Peace & Culture Square, he thought of a work that would not look like public art but one with a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local people could fully relate to. What immediately came to his mind was a wall. This is because walls do not look like public artworks but are objects that have multiple texts. Moreover, faced with the words Cheorwon city and DMZ, the author naturally thought of a metal fence. The metal fence reminded him of the Korean War, leading also to thoughts of the state, Marxism, democracy, communism, identity, evacuation, abduction, dispersion, separation, migration, sacrifice, and sadness. These words and feelings are part of the collective memory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s.

The Wall symbolizes the border between inside and outside, between here and there. Walls sometimes amplify and project our longing and imagination for an unknown world, and at other times, appear to us as an interruption, alienation, or isolation, obstructing the path ahead of us. The Berlin wall of East and West Germany of the past and the high and long wall of Korea’s metal fence along the 38th parallel are vestiges of geographically and physically ruptured pain caused by political ideology. Many people hope that the wall, which symbolizes division, would disappear. But some walls tend to become even more solid due to the weight of reality.

The Wall installed in Peace & Culture Square is nothing but a simple wall. It is just that the wall divides North and South. You cannot see across as through a metal fence, as it blocks your field of vision. Water flows down the surface of the wall. The water that flows down the wall comes from a nearby stream. This wall was built because there are many people who feel sadness, despair, and longing due to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The wall sheds tears for them, in their place. The tears shed by this wall may be tears of healing, soothing and covering all of our wounds. The quiet tears flowing down both sides of the wall are going to be tears that connect North and South, here and there, and the one and the other into one.


벽은 공공재(公共財)인가? 벽을 세운 주체가 개인이라도, 그 벽이 사유지와 공유지의 경계를 나누고 있다면 한쪽 면만 공공물이 되는가? 사유지에 세워진 벽은 공공물이 아닌가? 공공적 성격을 가진 사물은 어떤 조건에 부합되어야 공공장소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인가? 우리는 공공장소의 벽을 공공미술과 같은 입장으로 대할 수 있을까? 만약 벽을 공공미술로 전환할 경우, 우리는 그 벽을 미술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작가는 평화문화광장에 작품을 설치해 달라는 의뢰를 받았을 때 공공미술처럼 보이지 않으면서도 지역 사람들과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서사구조를 가진 작품을 생각했다. 이때 떠올린 것이 벽이다. 벽은 공공미술처럼 보이지 않지만 다양한 텍스트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철원시와 DMZ라는 단어를 접한 작가는 자연스럽게 철책을 떠올렸다. 철책은 한국전쟁을 연상시켰고 국가, 마르크스주의, 민주주의, 공산주의, 정체성, 피난, 피랍, 이산(離散), 이별, 이주(移住), 희생, 슬픔 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단어와 감정은 한국인들에게는 공동의 기억이자 보편적 이해에 속하는 것이다.

‘벽’은 안과 밖, 여기와 저기를 구분하는 경계를 상징한다. 벽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우리의 동경과 상상력을 증폭하여 투영하기도 하고 때로는 우리의 앞을 가로막아 단절, 소외, 차단의 의미로 나타내기도 한다. 과거 동서독의 베를린 장벽과 현재 한국의 38도 철책의 높고도 기나긴 벽은 정치적 이념으로 인해 지리적, 물리적으로 단절된 아픔의 흔적이다. 많은 이들이 단절의 상징인 벽이 사라지기를 바라지만 어떤 벽은 현실의 무게로 인해 더욱더 견고해지기도 한다.

평화문화광장에 설치된 작품 <벽>은 단순한 벽 그 자체이다. 단지 벽은 남과 북을 가르고 서 있다. 철책처럼 건너의 모습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시야를 막고 서 있다. 그 벽면으로 물이 흐른다. 벽에 흘러내리는 물은 근처 개울에서 온 것이다. 이 벽이 세워지게 된 이유는 남과 북의 단절로 인해 슬픔과 절망 그리고 그리움을 느끼는 많은 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벽은 이들을 대신하여 눈물을 흘린다. 이 벽에 흐르는 눈물은 우리 모두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감싸는 치유의 눈물일지도 모른다. 벽의 양면에 흐르는 잔잔한 눈물은 남과 북, 여기와 저기, 나와 상대가 아닌 서로가 하나로 이어지는 눈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