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Fake World
Kim Sung Won
김성원
Would it be too much of a flight of fantasy to say that I feel a sense of suspense upon entering Gimhongsok’s exhibition, as if a pleasant afternoon at a playground suddenly darkens to become the scene of crime? It is as if the bunny lying on the couch at the far end of the room has stood up and slapped me on the back. Another rabbit standing absent-mindedly in a corner slyly walks over to me and whispers under his breath, “I’m actually a spy sent to the South….Because I’m an illegal alien I have to wear this rabbit outfit for part-time work.” In another part of the room is a transsexual who has lost a leg after a botched sex change operation. He speaks to me uninhibitedly, of all the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he has suffered. Thus, the bunny sitting on the sofa invites us to a strange, cruel world, a place where one of the artist’s friends is invited to serve as an “embellishment” to the opening, where the disheartening soliloquy of a rape victim can be heard amidst the gibberish coming from an interview with a migrant laborer, played on an endless loop track. Amidst these dissonant noises, opening night visitors take part in a frantic witch hunt to discover a prostitute “embedded” somewhere in the crow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not completely cruel. There is “Foreigner,” a sculpture where the loaded term “foreigner” metamorphosizes into a different sculptural form, much like the transformative Wonderwoman of our youth, or “Fragment,” where an incomplete fragment is reconstituted into a dazzling, complete body. Amidst the chaotic, hastily scribbled graffiti on the walls, one can detect the silent shrieks of the artist, demanding that we “Use the door!”
Gimhongsok’s In Through the Out Door ushers us into the world of a fantasy novel, where rose-colored moods and sophisticated decorations share the same space as mischievous set-ups and elements of bleak reality. Here, the violation of individuals’ rights and the toying with fates are infinitely permissible. An illegal alien can see the light of day under the guise of a giant rabbit costume, while the dividing line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of abuse becomes hazy and indistinct. Beneath glossy, sleek surfaces lurks a world of the criminal, perverse, and immoral. In this unstable environment, an outer weakness belies an inner strength; within the victim is the perpetrator. This constant self-inflicted game creates tens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viewer in their visual interrogation of the works. Gimhongsok provides certain clues needed in order to go In Through the Out Door. Illegal aliens, migrant laborers, victims of sexual abuse, transsexuals, and prostitutes—these social issues are not new to us. But the central aims of the show lie in the attempt to “work through” these issues rather than to take them for granted, and the question of how or whether such marginalized characters are able to communicate and speak to us. This is why viewers are not provided with free, easy answers. This is especially because “we” as viewers of the show do not constitute a monolithic unity, but instead are part of a multitude with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very notion that an artist can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based on extremely personal experiences in some kind of clear and direct way already constitutes a difficult itinerary for viewers to follow.
Gimhongsok introduces us to an unpredictable world with In Through the Out Door. In this strange place, we encounter strange situations and initiate strange exchanges with strangers. The sexual abuse victim, the migrant laborer, the illegal alien: in this world, we come across a cast of characters that we would “never meet,” individuals who have become defined by their ineluctable, often unbelievable circumstances. But to make caricatures out of such social outcasts…is this to suggest that social grievances should simply become visual pleasures for us, or even worse, that these people should be seen as the scapegoats of an artistic shadenfreude? Is this some kind of immature way of pointing a finger at these social misfits, disregarding any sense of “public morals” or “political correctness”? These assumptions are too obviou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one, besides an idiot, who doesn’t already know what constitutes the bounds of social mores or political correctness. If that is the case, then why did the artist still choose this mode of ridiculing these socially marginalized figures? The answer must be sought in the ironic nature of the exhibition and in the logic, or illogic, of this strange world. If he wanted to talk about the disadvantaged in a more politically correct manner, the show probably would have been called Either Through or Out the Door instead. These marginalized people are the individuals wh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system of reality, the same system of power that has pushed them to the margins. The meeting of perpetrator and victim constitutes the symbolic encounter for us as viewers in this exhibition. While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social minorities in our daily lives, the “innocent” find it more difficult to extricate themselves from the ever expanding and complicated territory of power, hypocrisy and violence. This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not only exist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s but is part of an agonistic battle waged within ourselves. Thus, what Gimhongsok wishes to show is the manner in which the power of the strong and the powerlessness of the weak cannot but coexist in a cruel real world, and that this production is written across the very face of human nature. The moral and immoral, the right and wrong, the ideal and un-ideal, such Manichean conflicts are a part of the two-sided nature of man. Although we may believe that enacting a “politically correct” program will somehow solve all of society’s problems, that correctness itself operates as simply another form of power and violence, just as on the surface of things we may support a world of equality where there is neither strong nor weak, even though such idealistic beliefs will always provide an excuse for the worst sorts of crimes to be committed in the real world. As Baudrillard once wrote, today “The perfect crime would be the elimination of the real world. But what concerns me is the elimination of the original illusion, the fatal illusion of the world.” In the case of Gimhongsok, he does not dream of the perfect crime. Instead, he stresses Baudrillard’s view of the world itself as criminal, affirming the criminal real world and pushing it to its limits. Like the ancient Greek school of cynicism, which confronted the absurd with absurdity, Gimhongsok takes immorality for what it is--ultimately at his own moral expense—and experiments with the rich cynicism of such paradoxes.
By turning the spotlight onto immoral situations covered up by society, Gimhongsok exposes the mechanisms of violence, power and corruption at work in the social system, a system fueled by the warped logic of hypocrisy. A woman living in shame from abuse, an illegal alien living a life in hiding, prostitute, foreigner, artist, me, you; all of us, no matter our place in society, become at some point the perpetrator and at another the victim of injustice. Once we go in through the out door, the destabilization of positions becomes apparent. The instinct for self-preservation kicks in within the power system, as the necessity for force changes one from the weak to the strong and back again. These two sides of human nature constantly shift back and forth, and are given space in Gimhongsok’s exhibition, coming to a head in the hide-and-seek performance set up by the artist. The artist offered opening visitors a reward for finding a prostitute hidden in the crowd, much like in the manner of offering a ransom for finding a criminal on the run. By offering the ransom, the gallery became the scene of suspicion, with all visitors, no matter who they “really are,” suspected as the possible culprit. Thus we are caught in a trap. In this performance, we are all implicated, regardless of whether one is the type to uphold the law because it is there, the kind of person who wouldn’t commit a crime even in a lawless society, or the type who would commit a crime regardless of the law. In the case of the prostitute, she is not the only guilty one in the performance, nor is she solely a victim. The prostitute signs a fair “contract” of agreement with the socially powerful in order to carry out the game. And thus the prostitute, typically in a socially disadvantaged position, begins a game with the socially “acceptable” gallery visitors, who have at once become her latent perpetrators. The person who discovers her becomes the one who injures the prostitute, at the same time that he or she becomes a victim of shame and social scrutiny. The bystanders of these events are no longer innocent spectators either: by the act of watching, they are implicated. The artist himself, who has brought about all of these events and thus can be considered the ultimate “criminal,” becomes the victim of persecution in the name of political correctness, thus making the dividing line between persecutor and victim even more indistinct. No one alone can be pinpointed as the instigator of the crime in this performance; we are all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find the prostitute” performance has proven to be a sensitive spot for many people. Perhaps this is the reason why the artist chose such an extreme subject and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The decision to frame things in such a way reveals human nature’s two faces of perpetrator and victim, the superficial way people judge others based on stereotypes, the vulgar delight in mocking the avaricious nature of others despite the ubiquitous desire for wealth. Through such an arrangement, all of these ugly facets of human nature, which find a natural place next to the more rational aspects of human relationships, come to a head in a palpable collision. Gimhongsok’s In Through the Out Door is not a reality show that depends on a vulgar voyeurism, nor is it a media-storm scandal created at the expense of the socially disenfranchised. If we open the In Through the Out Door, we see that perpetrator and victim become one, at the same instant that we witness the internal conflicts that result from such a difficult unity. It is a cruel, inhuman, but thus necessarily human world. ‘Welcome to the real fake world!’…
Gimhongsok’s In Through the Out Door ushers us into the world of a fantasy novel, where rose-colored moods and sophisticated decorations share the same space as mischievous set-ups and elements of bleak reality. Here, the violation of individuals’ rights and the toying with fates are infinitely permissible. An illegal alien can see the light of day under the guise of a giant rabbit costume, while the dividing line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of abuse becomes hazy and indistinct. Beneath glossy, sleek surfaces lurks a world of the criminal, perverse, and immoral. In this unstable environment, an outer weakness belies an inner strength; within the victim is the perpetrator. This constant self-inflicted game creates tens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viewer in their visual interrogation of the works. Gimhongsok provides certain clues needed in order to go In Through the Out Door. Illegal aliens, migrant laborers, victims of sexual abuse, transsexuals, and prostitutes—these social issues are not new to us. But the central aims of the show lie in the attempt to “work through” these issues rather than to take them for granted, and the question of how or whether such marginalized characters are able to communicate and speak to us. This is why viewers are not provided with free, easy answers. This is especially because “we” as viewers of the show do not constitute a monolithic unity, but instead are part of a multitude with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very notion that an artist can communicate complex thoughts based on extremely personal experiences in some kind of clear and direct way already constitutes a difficult itinerary for viewers to follow.
Gimhongsok introduces us to an unpredictable world with In Through the Out Door. In this strange place, we encounter strange situations and initiate strange exchanges with strangers. The sexual abuse victim, the migrant laborer, the illegal alien: in this world, we come across a cast of characters that we would “never meet,” individuals who have become defined by their ineluctable, often unbelievable circumstances. But to make caricatures out of such social outcasts…is this to suggest that social grievances should simply become visual pleasures for us, or even worse, that these people should be seen as the scapegoats of an artistic shadenfreude? Is this some kind of immature way of pointing a finger at these social misfits, disregarding any sense of “public morals” or “political correctness”? These assumptions are too obviou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one, besides an idiot, who doesn’t already know what constitutes the bounds of social mores or political correctness. If that is the case, then why did the artist still choose this mode of ridiculing these socially marginalized figures? The answer must be sought in the ironic nature of the exhibition and in the logic, or illogic, of this strange world. If he wanted to talk about the disadvantaged in a more politically correct manner, the show probably would have been called Either Through or Out the Door instead. These marginalized people are the individuals wh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system of reality, the same system of power that has pushed them to the margins. The meeting of perpetrator and victim constitutes the symbolic encounter for us as viewers in this exhibition. While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social minorities in our daily lives, the “innocent” find it more difficult to extricate themselves from the ever expanding and complicated territory of power, hypocrisy and violence. This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not only exist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s but is part of an agonistic battle waged within ourselves. Thus, what Gimhongsok wishes to show is the manner in which the power of the strong and the powerlessness of the weak cannot but coexist in a cruel real world, and that this production is written across the very face of human nature. The moral and immoral, the right and wrong, the ideal and un-ideal, such Manichean conflicts are a part of the two-sided nature of man. Although we may believe that enacting a “politically correct” program will somehow solve all of society’s problems, that correctness itself operates as simply another form of power and violence, just as on the surface of things we may support a world of equality where there is neither strong nor weak, even though such idealistic beliefs will always provide an excuse for the worst sorts of crimes to be committed in the real world. As Baudrillard once wrote, today “The perfect crime would be the elimination of the real world. But what concerns me is the elimination of the original illusion, the fatal illusion of the world.” In the case of Gimhongsok, he does not dream of the perfect crime. Instead, he stresses Baudrillard’s view of the world itself as criminal, affirming the criminal real world and pushing it to its limits. Like the ancient Greek school of cynicism, which confronted the absurd with absurdity, Gimhongsok takes immorality for what it is--ultimately at his own moral expense—and experiments with the rich cynicism of such paradoxes.
By turning the spotlight onto immoral situations covered up by society, Gimhongsok exposes the mechanisms of violence, power and corruption at work in the social system, a system fueled by the warped logic of hypocrisy. A woman living in shame from abuse, an illegal alien living a life in hiding, prostitute, foreigner, artist, me, you; all of us, no matter our place in society, become at some point the perpetrator and at another the victim of injustice. Once we go in through the out door, the destabilization of positions becomes apparent. The instinct for self-preservation kicks in within the power system, as the necessity for force changes one from the weak to the strong and back again. These two sides of human nature constantly shift back and forth, and are given space in Gimhongsok’s exhibition, coming to a head in the hide-and-seek performance set up by the artist. The artist offered opening visitors a reward for finding a prostitute hidden in the crowd, much like in the manner of offering a ransom for finding a criminal on the run. By offering the ransom, the gallery became the scene of suspicion, with all visitors, no matter who they “really are,” suspected as the possible culprit. Thus we are caught in a trap. In this performance, we are all implicated, regardless of whether one is the type to uphold the law because it is there, the kind of person who wouldn’t commit a crime even in a lawless society, or the type who would commit a crime regardless of the law. In the case of the prostitute, she is not the only guilty one in the performance, nor is she solely a victim. The prostitute signs a fair “contract” of agreement with the socially powerful in order to carry out the game. And thus the prostitute, typically in a socially disadvantaged position, begins a game with the socially “acceptable” gallery visitors, who have at once become her latent perpetrators. The person who discovers her becomes the one who injures the prostitute, at the same time that he or she becomes a victim of shame and social scrutiny. The bystanders of these events are no longer innocent spectators either: by the act of watching, they are implicated. The artist himself, who has brought about all of these events and thus can be considered the ultimate “criminal,” becomes the victim of persecution in the name of political correctness, thus making the dividing line between persecutor and victim even more indistinct. No one alone can be pinpointed as the instigator of the crime in this performance; we are all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find the prostitute” performance has proven to be a sensitive spot for many people. Perhaps this is the reason why the artist chose such an extreme subject and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The decision to frame things in such a way reveals human nature’s two faces of perpetrator and victim, the superficial way people judge others based on stereotypes, the vulgar delight in mocking the avaricious nature of others despite the ubiquitous desire for wealth. Through such an arrangement, all of these ugly facets of human nature, which find a natural place next to the more rational aspects of human relationships, come to a head in a palpable collision. Gimhongsok’s In Through the Out Door is not a reality show that depends on a vulgar voyeurism, nor is it a media-storm scandal created at the expense of the socially disenfranchised. If we open the In Through the Out Door, we see that perpetrator and victim become one, at the same instant that we witness the internal conflicts that result from such a difficult unity. It is a cruel, inhuman, but thus necessarily human world. ‘Welcome to the real fake world!’…
김홍석의 전시에서 놀이공원의 평화로운 오후가 범죄현장으로 둔갑하기 직전의 야릇한 서스펜스를 느꼈다면 지나친 상상일까?... 소파에 길게 누어있는 ‘버니’가 갑자기 벌떡 일어나 내 등을 탁 친다. 구석에 우두커니 서 있던 또 다른 토끼가 성큼 성큼 다가오며 “나는 남파 간첩이며 불법체류자이기 때문에 이렇게 토끼 탈을 쓰고 여기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는 속삭인다. 한 편에서는 성전환 수술이 잘 못되고 다리가 잘린 트랜스 섹슈얼이 자기가 겪은 이 세상의 모든 인권유린의 현장을 거침없이 적나라하게 쏟아낸다. 소파 위의 ‘버니’가 초대한 곳은 친구가 그저 오프닝용 장식품으로 이용당하기도 하고, 성고문 당한 한 여인의 황당무계한 독백이 흘러나오며, 외국인 노동자의 횡설수설 인터뷰가 계속해서 돌아가고 있으며, 그 와중에 초청객들은 숨어 있는 매춘부를 찾느라 혈안이 되어 있는 잔인한 세상이다. 그런가 하면 추억의 원더우먼의 ‘360도 회전’은 이질적 ‘외국인’을 매혹적인 대상으로, 또 불완전한 ‘파편’을 눈부시게 반짝이는 완벽한 ‘몸’으로 둔갑시킨다. 정신 없이 갈겨쓴 낙서들 속에서 작가의 소리 없는 절규가 들린다. “Use the door!”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이렇듯 핑크색 무드, 세련된 치장, 익살맞은 설정과 함께 암울한 ‘현실’을 판타지 소설 세계로 안내한다. 여기는 인권을 유린 당한 자들의 상상을 초월한 운명의 장난이 허용되며, 불법체류자는 토끼 탈을 쓰고 양지로 나올 수 있고, 성고문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가 흐려지는 황당한 세계인 것이다. 반들거리는 윤기와 화려하고 세련된 외형 속에는 세상의 범죄, 비윤리, 부조리가 도사리고 있으며, 약자 속의 강자, 피해자 속의 가해자가 자조적 게임을 즐기며 갈등하고 있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우리에게 이 ‘낯선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일종의 ‘단서’들을 제안한다. 불법체류자, 이주노동자, 성고문 피해자, 트랜스 섹슈얼, 매춘부 등의 사회적 이슈 자체는 사실 우리에게 그다지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하지만 이 전시의 핵심은 김홍석이 이러한 이슈를 ‘어떻게’ 다루었는가 그리고 이 결과가 과연 어떻게 소통가능 한 것일까에 있다. 전시는 언제나 그 의도를 가늠하고, 질문하고, 그 어떤 바램을 찾는 감상자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 노력이란 작가가 제안한 시각적 그리고 암시적 코드들과 함께 우리의 지적 활동을 가동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의 전시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공짜로 얻어지는 일은 아니다. 게다가 전시를 감상하는 ‘우리’는 결코 동일한 사회문화적 백그라운드를 가질 수 없는 불특정 다수다. 때문에 한 작가의 지극히 개인적 경험을 기반으로 한 복합적 사유와 소통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멀고 험난한 여정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우리를 예상치 못한 낯선 세계로 안내한다. 낯선 세계에서 우리는 낯선 상황과 만나게 되며 낯선 사람들과 낯선 소통을 시작한다. 이 세계에서 성고문 피해자, 불법체류자, 트랜스 섹슈얼, 매춘부는 모두 황당한 설정 속에서 기막히게 우스꽝스런 모습을 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들을 이렇게 희화하다니… 이 모든 사회의 아픔이 그저 전시의 눈요기 혹은 얄팍한 게임의 타깃이란 말인가? ‘공공적 윤리’나 ‘정치적 올바름’따위는 안중에도 없이 사회적 약자들을 딛고 한 번 떠보겠다는 유치한 작전인가? 하지만 이건 너무 뻔한 추측이 아닌가! 왜냐하면 바보가 아닌 이상 사회적 윤리와 정치적 올바름이 무엇인지 정도는 모를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김홍석은 사회적 약자를 ‘우롱(?)’했다는 뻔한 ‘의심’을 자초해야만 했는가? 답은 ‘밖으로 들어가기’의 아이러니와 그가 초대하고자 한 ‘낯선 세계’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작가가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에 대한 정치적 올바름을 이야기하려고 했다면 아마도 ‘안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가는’ 정상적인 문을 제안했을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 불법체류자, 성고문 피해자, 인권 유린을 당한 사람들, 매춘부 등의 사회적 약자들은 현실의 시스템, 즉 권력이 만들어 낸 소외 계층이다. 김홍석 전시에서 누구나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소수자의 등장은 우리에게 보다 확장되고 복합적인 차원의 권력, 위선, 폭력을 일삼는 피해자/가해자와의 만남을 상징적으로 주선한다. 이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내 안에’ 그리고 ‘우리들 사이에’에서 잔인하게 드러나게 된다. 결국 김홍석이 소통하고자 하는 것은 강자의 권력과 약자의 나약함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잔인한 현실세계 또 그것을 생산하는 인간의 모습인 것이다. 윤리와 비윤리, 옳고 그름, 이성과 비이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인간의 양면성 자체 말이다. 우리는 ‘정치적 올바름’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 같지만, 바로 이 ‘정치적 올바름’이 또 다른 ‘권력과 폭력’으로 작용하고, 겉으로는 강자도 약자도 없는 평등을 표방하지만, 그 이면에는 이것을 가장한 온갖 범죄가 난무하는 그런 현실세계를 살고 있다. 오늘날 “완전범죄는 아마도 (이러한)현실세계를 제거하려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원죄적 환상인 것이다”라는 보드리아르의 글귀가 떠오른다. 그렇다. 김홍석은 ‘완전범죄’를 꿈꾸지 않는다. 오히려 “이 세상 자체가 범죄적”이라는 보드리아르의 생각을 더욱 더 극단적으로 밀고 나간다. 마치 부조리에 부조리로 대응하던 고대 그리스의 ‘시니크(cynique)’처럼, 김홍석은 비윤리를 비윤리로 풀고, 스스로를 가해하며 궤변의 풍요로운 역설을 시도하고 있다.
김홍석은 비윤리적 상황을 의도적으로 돌출시키며 사회 시스템 속의 모든 폭력, 권력, 타락 그리고 위선의 현장을 기획한다. <밖으로 들어가기>에는 성고문을 당한 불쌍한 한 여성, 숨어서 불법 노동을 하는 불법 체류자, 인권 유린을 당한 사람, 매춘부, 외국인, 작가, 나, 우리는 그 어떤 계층의 하이라키도 없이 모두 한 순간 강자가 되어 약자를 가해하는가 하면 강자에 의해 피해를 당하는 약자가 되기도 한다. 권력 시스템 안에서 돌변하는 ‘두 얼굴의 사나이’는 스스로를 강자라고 생각하며 약자에 대한 피상적 보호본능을 이따금 발휘하는 ‘어리석은 강자’가 되기도 하고 약자의 위치를 서슴없이 악용하는 ‘영악한 약자’로 돌변하기도 한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바로 이 두 얼굴의 미팅 플레이스를 기획한다. 이 기획은 범죄를 기획하고 저지르며 후회하는 ‘창녀 찾기’ 퍼포먼스에서 절정에 달한다. ‘현상금’이란 범인을 찾을 때 거는 금액이 아니겠는가! 이미 오프닝 참석자들은 잠재적 범인들이며 ‘범죄’가 발생할지도 모르는 ‘현장’에 있게 된다. 범죄를 저지를 것인가 아닌가… 우리는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이 퍼포먼스에서는 법이 있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르는 자와 법이 없어도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 혹은 법이 있어도 범죄를 저지르는 우리 모두가 ‘소재’인 것이다. 매춘부만이 이 퍼포먼스의 소재이자 피해자는 아니란 것이다. 매춘부는 이 게임을 위해 사회적 강자들과 정정당당한 ‘협상’을 한다. 그리곤 사회적 피해자 위치에 있던 매춘부는 ‘창녀 찾기’에 적극적으로 달려드는 잠재적 가해자들과 한 판의 게임을 시작한다. 창녀를 찾은 사람은 창녀에게 피해를 가한 가해자임과 동시에 사회적 질타에 괴로워하는 피해자가 된다. 동시에 창녀는 자신을 찾아 낸 사람에게 일종의 가해자가 된다. 구경꾼들은 이 사건을 ‘방관’한 간접적 범죄를 범했고 작가는 이 모든 것을 자초하며 스르로를 ‘정치적 올바름’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애매한 영역으로 몰고 간다. 결국 ‘창녀 찾기’의 범인은 창녀도 아니고 이것을 기획한 작가도 아니며 창녀를 찾은 사람도 아니다. 우리 모두가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것이다. ‘창녀 찾기’ 기획은 사람들의 민감한 정서를 건드린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작가는 이러한 극단적 대상과 상황을 선택한 것일지도 모른다. 이 선택은 인간의 강자와 약자의 두 얼굴, 타자의 겉모습으로 모든 걸 판단하는 인간의 얄팍함, 타자의 치부를 엿보며 희열을 느끼는 인간의 저속한 근성 그리고 인간의 이 모든 흉한 모습에 가슴 졸이며 스르로를 추스르는 이성적 인간상과의 정면충돌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정인 것이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엿보기 심리를 자극하는 ‘리얼리티 쇼’도 아니고, 소외계층을 소재로 스캔들을 만드는 ‘노이즈 마케팅’도 아니다. 김홍석이 제안한 “밖으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보자. 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몸이 되고 그 안에서 서로 대립하며 갈등하는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하지만 그래서 너무도 인간적인 세계가 기다리고 있다. ‘Welcome to the real fake world!’…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우리를 예상치 못한 낯선 세계로 안내한다. 낯선 세계에서 우리는 낯선 상황과 만나게 되며 낯선 사람들과 낯선 소통을 시작한다. 이 세계에서 성고문 피해자, 불법체류자, 트랜스 섹슈얼, 매춘부는 모두 황당한 설정 속에서 기막히게 우스꽝스런 모습을 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들을 이렇게 희화하다니… 이 모든 사회의 아픔이 그저 전시의 눈요기 혹은 얄팍한 게임의 타깃이란 말인가? ‘공공적 윤리’나 ‘정치적 올바름’따위는 안중에도 없이 사회적 약자들을 딛고 한 번 떠보겠다는 유치한 작전인가? 하지만 이건 너무 뻔한 추측이 아닌가! 왜냐하면 바보가 아닌 이상 사회적 윤리와 정치적 올바름이 무엇인지 정도는 모를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김홍석은 사회적 약자를 ‘우롱(?)’했다는 뻔한 ‘의심’을 자초해야만 했는가? 답은 ‘밖으로 들어가기’의 아이러니와 그가 초대하고자 한 ‘낯선 세계’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작가가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에 대한 정치적 올바름을 이야기하려고 했다면 아마도 ‘안으로 들어가거나 밖으로 나가는’ 정상적인 문을 제안했을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 불법체류자, 성고문 피해자, 인권 유린을 당한 사람들, 매춘부 등의 사회적 약자들은 현실의 시스템, 즉 권력이 만들어 낸 소외 계층이다. 김홍석 전시에서 누구나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소수자의 등장은 우리에게 보다 확장되고 복합적인 차원의 권력, 위선, 폭력을 일삼는 피해자/가해자와의 만남을 상징적으로 주선한다. 이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내 안에’ 그리고 ‘우리들 사이에’에서 잔인하게 드러나게 된다. 결국 김홍석이 소통하고자 하는 것은 강자의 권력과 약자의 나약함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잔인한 현실세계 또 그것을 생산하는 인간의 모습인 것이다. 윤리와 비윤리, 옳고 그름, 이성과 비이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인간의 양면성 자체 말이다. 우리는 ‘정치적 올바름’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 같지만, 바로 이 ‘정치적 올바름’이 또 다른 ‘권력과 폭력’으로 작용하고, 겉으로는 강자도 약자도 없는 평등을 표방하지만, 그 이면에는 이것을 가장한 온갖 범죄가 난무하는 그런 현실세계를 살고 있다. 오늘날 “완전범죄는 아마도 (이러한)현실세계를 제거하려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원죄적 환상인 것이다”라는 보드리아르의 글귀가 떠오른다. 그렇다. 김홍석은 ‘완전범죄’를 꿈꾸지 않는다. 오히려 “이 세상 자체가 범죄적”이라는 보드리아르의 생각을 더욱 더 극단적으로 밀고 나간다. 마치 부조리에 부조리로 대응하던 고대 그리스의 ‘시니크(cynique)’처럼, 김홍석은 비윤리를 비윤리로 풀고, 스스로를 가해하며 궤변의 풍요로운 역설을 시도하고 있다.
김홍석은 비윤리적 상황을 의도적으로 돌출시키며 사회 시스템 속의 모든 폭력, 권력, 타락 그리고 위선의 현장을 기획한다. <밖으로 들어가기>에는 성고문을 당한 불쌍한 한 여성, 숨어서 불법 노동을 하는 불법 체류자, 인권 유린을 당한 사람, 매춘부, 외국인, 작가, 나, 우리는 그 어떤 계층의 하이라키도 없이 모두 한 순간 강자가 되어 약자를 가해하는가 하면 강자에 의해 피해를 당하는 약자가 되기도 한다. 권력 시스템 안에서 돌변하는 ‘두 얼굴의 사나이’는 스스로를 강자라고 생각하며 약자에 대한 피상적 보호본능을 이따금 발휘하는 ‘어리석은 강자’가 되기도 하고 약자의 위치를 서슴없이 악용하는 ‘영악한 약자’로 돌변하기도 한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바로 이 두 얼굴의 미팅 플레이스를 기획한다. 이 기획은 범죄를 기획하고 저지르며 후회하는 ‘창녀 찾기’ 퍼포먼스에서 절정에 달한다. ‘현상금’이란 범인을 찾을 때 거는 금액이 아니겠는가! 이미 오프닝 참석자들은 잠재적 범인들이며 ‘범죄’가 발생할지도 모르는 ‘현장’에 있게 된다. 범죄를 저지를 것인가 아닌가… 우리는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이 퍼포먼스에서는 법이 있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르는 자와 법이 없어도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 혹은 법이 있어도 범죄를 저지르는 우리 모두가 ‘소재’인 것이다. 매춘부만이 이 퍼포먼스의 소재이자 피해자는 아니란 것이다. 매춘부는 이 게임을 위해 사회적 강자들과 정정당당한 ‘협상’을 한다. 그리곤 사회적 피해자 위치에 있던 매춘부는 ‘창녀 찾기’에 적극적으로 달려드는 잠재적 가해자들과 한 판의 게임을 시작한다. 창녀를 찾은 사람은 창녀에게 피해를 가한 가해자임과 동시에 사회적 질타에 괴로워하는 피해자가 된다. 동시에 창녀는 자신을 찾아 낸 사람에게 일종의 가해자가 된다. 구경꾼들은 이 사건을 ‘방관’한 간접적 범죄를 범했고 작가는 이 모든 것을 자초하며 스르로를 ‘정치적 올바름’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애매한 영역으로 몰고 간다. 결국 ‘창녀 찾기’의 범인은 창녀도 아니고 이것을 기획한 작가도 아니며 창녀를 찾은 사람도 아니다. 우리 모두가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것이다. ‘창녀 찾기’ 기획은 사람들의 민감한 정서를 건드린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작가는 이러한 극단적 대상과 상황을 선택한 것일지도 모른다. 이 선택은 인간의 강자와 약자의 두 얼굴, 타자의 겉모습으로 모든 걸 판단하는 인간의 얄팍함, 타자의 치부를 엿보며 희열을 느끼는 인간의 저속한 근성 그리고 인간의 이 모든 흉한 모습에 가슴 졸이며 스르로를 추스르는 이성적 인간상과의 정면충돌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정인 것이다. 김홍석의 <밖으로 들어가기>는 엿보기 심리를 자극하는 ‘리얼리티 쇼’도 아니고, 소외계층을 소재로 스캔들을 만드는 ‘노이즈 마케팅’도 아니다. 김홍석이 제안한 “밖으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보자. 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몸이 되고 그 안에서 서로 대립하며 갈등하는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하지만 그래서 너무도 인간적인 세계가 기다리고 있다. ‘Welcome to the real fak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