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Objective-Of Ordinary Art


사람 객관적-평범한 에술에 대해




Gimhongsok
김홍석
This text was included in Gimhongsok's People Objective-Of Ordinary Art, serving as the script for the actors performing in the piece.

Exhibition Title: Ordinary Strangers
Period: April 4, 2011 – May 1, 2011
Curated by samuso
Hosted by Artsonje Center, Seoul, Korea

***

Performer: Choi Bo-kwang
Some Thoughts on Tools-The Will to Turn a Chair into a Work of Art

† When the viewers approach the actor, he will do his best to face them in as cheerful and warm a manner as possible. 

Hello.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plain to you how an object such as the chair is transformed into a form of artistic expression.
The chair is an object that ordinarily has three or four legs, a back and perhaps armrests, and can typically be considered as a tool that people use for sitting. An artist would probably rely on the transformation of its materials, scale, shape or color in order to produce meaning from this object.
Actually, this is not something that we ordinarily get the chance to think about. Let's say that a particular artist decided to create a work of art involving the chair; if he decided to make it in the form of an actual chair, chances are that we probably wouldn't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n ordinary chair and the work-of-art-chair made by the artist. I recently met an artist who decided to create five chairs. I would now like to tell you about these chairs.
I will describe the first chair.
In order to make the chair, the artist went to a thrift store and purchased several suitcases. In order to construct the form of the chair, he used one suitcase for the seating, another propped upright for the back, and two smaller bags for the legs of the chair. After he completed the first chair from this assemblage, he made about 10 of these suitcase-type chairs. Then he cast the chairs in bronze. When I say casting, I mean the process whereby bronze is melted down to a molten state using hot fire and is then poured into a mold in order to produce an object. The reason why he cast the chairs in bronze is because he was thinking about installing them in a public space. The people passing by the square seem to have been able to sit down quite freely on the suitcase-shaped chairs. The height of the seats was about 40 centimeters high and the overall shape was solemn and had quite a contemporary feel about it; the chairs had both a comical aspect and yet a slight air of solitude.

† If possible, when explaining the form of the chair or the production process, refrain from any movement or gestures and only try to describe verbally. 

It appears that in the case of this chair, it was the material, rather than the size, shape or color that was emphasized. Then why, in fact, did the artist decide to make a chair like this? The artist decided to call the piece Chair for Progress. In the lexical definition of progress, the term denotes societal change or development, especially when understood as a process following the law of historical development; however it seems that with this work, the artist wanted to place the emphasis instead on the individual people and the lives that had been devoted to achieving those broader processes of change or development. The artist probably chose to turn the suitcases into a work of art because he thought that people with that sort of progressive lifestyle travelled a lot. Next, I will describe the second chair.
The artist decided to title this piece The Chair of Justice. Justice is a term that is usually understood to mean a moral obligation to uphold the truth. In philosophy, it means an ethical obligation maintained between individuals. Or, it can also mean an official responsibility, which actively constructs and binds society together. The artist thought about what constitutes the proper responsibility or official duty of a chair. Rather than thinking about symbolic meanings attached to the chair, for instance meanings attached to its comfort or shape, the artist decided that he had to focus on the chair itself as the subject of this piece. The artist selected a small stone and decided that the duty of the chair was that it could be sat upon. The stone appeared very comfortable, for it was smooth and of a decent height and size for a person to sit upon. If we look at this st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tle, the meaning of the piece is communicated quite easily but just looking at it, the piece looks more like a rock than an actual chair. And how is it possible to persuade those looking at this piece that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hair solely by the act of transporting the stone to its present location? It seems that the artist did not pay attention to this sort of dilemma. Ultimately, it appears that The Chair of Justice became simply a stone.
Next, I will speak about the third chair.
For several reasons, this chair could not actually be made and it only existed in the artist's imagination as a potential plan. However, because it is a part of his project, I will introduce this chair to you.
He decided to call this chair The Chair of Rights. The notion of rights can be understood as something comprising both self-interest and a higher power, and can also be explained as a power or ability that can be rightfully demanded of another, or as comprising civil rights, societal rights and private rights. One could say that its opposite is coercion. In order to capture the meaning of rights, the artist decided not to make a chair in a certain form or using a particular material. Nor did he choose a particular color or size. Instead, he wanted to obtain a number of chairs that could be found in ordinary places and to place them on street corners, on top of buidings, or the wall of a five-story building. Because there was the possibility that the chairs could fall from the top of a building or from a building's wall, it was decided that the chairs would have to be securely fastened. The people seated in the chairs at the top of buildings or atop the walls could look down at the landscapes below them, while people sitting in the chairs located on populated streets could encounter many passersby. On the other hand, they would be exposed right in the path of pedestrians. According to this plan, most of the chairs would have to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ity in a space of about 3,000㎡, or around 900 pyeong. The total quantity would be about 40 chairs. Would people actually be able to interact naturally with these chairs? Wouldn't they easily become damaged by rain and wind? And would it be possible to get permission to install the chairs from the proper public authorities or the building superintendents? Is it because he lacked basic knowledge about the kinds of institutions involved in public art that he decided to make this kind of piece? Or was it that he thought that this kind of impossible installation coincided itself with the concept behind The Chair of Rights? What kind of meaning does this chair, which never saw the light of day, ultimately have? Can possibilities that have merely been imagined or have not been actualized be called complete works of art too?
Next, I will describe the fourth chair to you.
It took roughly a year to produce this chair because it required thorough calculations and resolving several technical issues. It is possible that the artist has a stronger attachment to this chair because it took that much more effort to get it made. In terms of the technical difficulties, they revolved around securing the extremely intric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stalled within the cushion of the chair. First, the artist purchased the Poltrona di Proust chair, first produced in 1978. The designer of the chair was Alessandro Mandini, and the chair drew from the work of the artist Paul Signac. The outward form of the chair resembles an eighteenth-century French Neobaroque style, while the frame and entire cushion have been colored with impressionistic dots. The form and the color of the chair are extremely flamboyant. The artist purchased five of these extremely expensive chairs and installed car seats and electric panels inside of them, along with electric thermal controls. Even a massage function was installed so that when seated, one could receive a massage from the heated seat. Suffice it to say that the price of this chair was beyond imagination. He decided to call this chair The Chair of Democracy. Putting this kind of strange title on such an expensive and extravagant chair is likely to raise questions. Democracy is usually understood as a political system where citizens take power and exercise self-rule. Or it can also mean the form of thought that leads to that kind of politics. Maybe he just wanted to emphasize this notion of the peoples' power? Or perhaps he was cynically trying to mock the possibility of a democracy in reality? Or is he criticizing the attitude whereby we simply celebrate the idea of democracy not only because it is able to overcome dictatorship or totalitarianism, but because we consider it the highest, most extravagant and therefore best idea?
And finally, I will describe to you the last chair.
This chair was comprised of a bench and wa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he intention of the artist was to create a chair that you couldn't actually sit on. In other words, when we think of sitting, it is associated with such terms as "rest," "stop," "staying," or "safety," and thus, the artist sought to express its opposite state, which would suggest notions such as "labor," "progress," "in motion," "change" and other terms that describe states of action. The artist made a bench using a pile of barbed wire fence. He used the pile of barbed wire to make the basic armature and then filled the entire inside of the bench with the wire. He made three benches out of this material each in a different shape. One was made in the form of the Korean character "ㄴ", and another had the form of a circle. For the last bench, the artist made the inner corner of an “L” shape into an acute angle and secured the corner to the ground.

Although the individual sizes of the benches were similar, some of them were as tall as 8 meters high.

† If possible, when explaining the form of the benches, refrain from any movement or gestures and only try to describe it verbally.

What happened is that people coming in search of this place or those walking in the vicinity would have no thought of sitting on the benches and would thus be forced to just look at them from a distance. The artist decided to call this piece The Chair of Revolution. And with that, I conclude my description of some chair pieces done by an artist whom I recently met.




***




Performer: Chang Soyoung
Some Thoughts on Pure Matter-The Will to Turn Stone into a Work of Art

† When the viewers approach the actor, she will gently attempt to get their attention. However, the actor is not to be too boisterous or distracting. 

Hello, I would like to describe to you the artwork that I made using stone. Instead of explaining the finished work of art, you can think of my description as an art proposal about stone. As a public proposal, it is meant to be a commemorative monument for people living in the city and is a park that includes aspects of urban planning.
Stones are familiar to us as objects found in nature. Sometimes, when we go on a trip, we might even bring some back as a souvenir in remembrance of the journey. Going to Jeju Island, you might bring back a piece of Basalt rock because you want to have a material object with which you can preserve and always treasure the memories of your trip. Suiseki, or collectors' stones, beyond their significance in a collection, reflect man's reverence for nature; the collector, taking the form of a truth-seeker, gathers stones, gives them meaning and contemplates them for a long time. Artists too can remain lost in thought when they consider stone. Because most people are not familiar with this artistic process of consider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tone and creating different works of art based on them, I will describe some of these possibilities to you.

Collect a stone and place it in the exhibition space

Invite people to look at the stone in the exhibition space

Collect several stones and rearrange them (stack them, place them in parallel rows, stick them together, etc.)

Select one stone and carve it into a shape

Cast a stone and transform it using different materials such as bronze, plaster, silicon, sand etc.

Draw a stone on paper

Photograph a stone

Record a video of a stone

Play with a stone by tossing it

Cut a large stone in situ

Turn a stone to powder and then use the powder to create another form

There are so many such methods but artists do not treat stones in an easy manner like a sack of potatoes that have been bought at the corner store. In other words, for artists the stone has been more mythologized than the potato. This is because stone seems to exert some kind of abstract power over man. Sometimes, an artist might feel that she can't even lay a finger on a stone, for the fear that carving it or moving it to another place might symbolize man's infinite selfishness and greed, and yet nevertheless there are artists who, in their desire to exhibit that stone, will simply bring the viewers with them to see it. Some artists, finding it blasphemous to carve a stone, will only leave the slightest trace on a leftover part, while other artists will use concrete as a substitute material in order to make their sculptures. Of course, there are artists who carve enormous stones however they want and others who have large stones transported to wherever they desire. This kind of attitude should not be censured on ethical terms or out of custom. As is well known, when such artworks are preserved for a long time, they are then received as new entities that are able to convey a sense of historicity, and can even be considered as helping out the regional economy.

At this point, I would like to propose an artwork that incorporates stone.
The title of this piece is The Solitary Path. The location of this piece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is because it requires the creation of a spectacular context. That is the only way that the stone can appear like an actual stone. First, a city filled with high-rise buildings must be found. And because this work must be located between two buildings, at least one building will probably have to be purchased. Then, the site where the building is located will have to be completely cleared of everything. Thus, an empty space will be created between the buildings.
Afterwards, all of the country's rocky mountains, or even better, all of the world's rocky mountains will be scoured with a person who really knows something about stones and those with the best shape and meaning will be chosen. If possible, the smallest stone as well as the largest boulder will be collected. There should be enough stones to fill an entire 50-storey building. Afterwards, experts in mountains and architecture, such as Feng-shui specialists, geologists, poets, landscapers, contractors and structural engineers, will be called to put their heads together and determine how to create an artificial stone mountain. Although it might seem like this is the happiest moment in the project, it is vital that this collision of expertise does not result in the complete foundering of the project. 
First, a hexagonal 50-story tall building will be constructed. This building must first be constructed from a structural framework without any walls. Next, with the help of experts, the stones will be stacked one by one beginning with the first floor. And that is how a stone mountain that is as tall as the 45th story of the building is made. If possible, some trees and greenery that are fitting to this stone mountain will be arranged. And if there is some leeway in the budget, a waterfall and pond can be plac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thus transforming the stone mountain into a mountain with sound. Construction on the walls of the building will be finished when the mountain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walls will all be of glass and the bottom of the mountain, if possible, will be sealed off with concrete. When all of these procedures are completed, the project will be finished.
When the building and the stone mountain are finished, all of the people passing by will be able to look at them from the street. And the people visiting this building will even be able to climb to the summit of the mountain. Although it is an extremely steep summit, it is assumed that there will nonetheless be many people willing to climb to the top.
I will tell you about the criteria and some limitations in using this building.
Reservations must be made in order to enter the building. The maximum capacity is 10 people and beyond that, people will not be allowed to enter. The longest that one can stay on the mountain is limited to a maximum of 20 minutes. The building will be open 24 hours. There are no cultural facilities such as food stalls, shower stalls, music, or places selling coffee in this building. Admission is free. The building and mountain are not responsible for any falls or accidents.

This stone mountain is a pathetic mountain even from its conception. It is, however, aimed at those city dwellers who can afford to live in the utmost luxury. And even though I have proposed making this kind of stone mountain, I am extremely wary of it actually being constructed. That's because even though achieving this project might not be that exceptional in this day and age when there are artificial islands and missions to Mars, if this project was ever realized, it would instantly confirm the existence of man's original sin.




***




Performer: Kim Yu-na 
Some Thoughts on Matter that Cannot Be Formed--The Will to Turn Water into a Work of Art

† When the viewers approach the actor, she is to address them in a calm manner, without being too harsh or forceful.

Hello, I would like to describe some artwork about water. As is well known, water has the quality of being something that cannot easily be shaped, but artists nonetheless incorporate water and express it in their works. It is likely that it is so difficult to visualize because the material cannot be easily shaped, which is also most likely why it has been determined to be quite an abstract material. It is probably because of this abstract quality that artists turn to metaphors or symbols in order to express water as love, coolness, beauty or even life.
However, when I think of water, I end up thinking of tears. Tears do not produce a vast body of water on the scale of oceans or rivers, and like rain, they have little movement, but nonetheless they are something that is produced by humans, and thus are extremely emotional and even historical.
That is why I particularly like works of art that incorporate tears as an element of the work. One artist I know was able to express tears through a work of art comprised of the wallpaper that hung in his own room. The room was completely empty, save for a long tear about three millimeters wide, from ceiling to floor, ripped into the wallpaper on one of the walls. That was the entire piece. The torn portion of the wallpaper resembled the trace of a tear, and considering that it ran from ceiling to floor, it was probably about 3 meters long.
Then there was another work that was a sculpture. This work was about the size of a real tear and was made out of a material called iron. The piece was made from about 100 of these individual tear-like pieces, made of different lengths ranging from three to four meters, all of which dangled from the ceiling. When viewed closely, each piece was long and slender, in other words, about 5 millimeters wide and about 2 millimeters thick and extremely long, and a tiny round part, which resembled a teardrop, dangled from the end. Whenever people would pass by, all of the tears would be moved by the air and make a sound that was refreshing--or alternatively, for some, would sound lonely and miserable.
Now I would like to give you a concrete description of my own tear artwork. I will meet an ordinary person who has known both love and sadness. The idea of knowing sadness is a relatively abstract notion, but most people will understand what that means. I will invite that person here and talk with him or her about love and sadness. The piece will end when that person and I cease to talk about love and sadness and instead are able to feel actual tears.
Now, I will show you this work of art.

† Shed tears.



***


Performer: Kim Kyung-bum  
Some Thoughts on the Ethical Attitude--The Will to Turn People Into a Work of Art

† When the viewers approach the actor, he will be as welcoming and relaxing as possible. The actor can face the viewers while standing. 

Hello, I would like to talk to you about works of art that incorporate actions or situations. This kind of artwork is usually called a performance or is at times called "performance art." As you may all know, performances can be theatrical scenarios such as those on a stage, or they can be participatory events where the viewers actively engage in the work of art. Moreover, there are also documentary situations where the process of labor involved in producing the work of art is shown directly to the viewer. Considering that we live in a world whe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media such as the video camera have allowed for widespread dissemination, a performance is not bound to a situation that takes place at a specific site, nor does it have to be targeted to a limited group of people. Instead, it can also include some act that has first taken place in a secret location or a personal space or a place where it is not easy to encounter other people, which is recorded and then transmitted and shown to viewers later. There are even cases where it become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 given work of art is a video piece or a performance piece.
Then why do artists carry out performances and then call them works of art? What are the elements that make such works different from theater or dance?
I don't know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However, I have made the ambitious decision to try and plan something that is both theatrical but spontaneous, something that involves viewers' participation even as it is highly artistic. It will be a performance with a script, not a performance that I myself participate in but something that actors will rehearse and then perform, in a location that is not a stage but is instead just an ordinary place, a place where the audience does not watch passively, but instead voluntarily participates in it, and where the conclusion is not fixed, but is an "open-ended" performance where no one knows how it will end. So what I have thought of creating is some sort of piece where people explain the processes involved in works of art and people listen to them. So in other words, the work is a landscape made up of people explaining the works of art and people listening to them, instead of there being art objects arranged in an art exhibition space. That way, there are still works of art, but they aren't visible to the eye, and even though they are not visible, the works of art are still there and moreover, each viewer can imagine a different kind of piece in his or her mind.

† Point to a person. 

It's nice to meet you. I have a question for you: when were you happiest most recently, and would you mind sharing that moment with us?

† Listen to the response and discuss the common points of interest. If the discussion isn't too burdensome, continue talking; if it is, then casually end the conversation.

† If you are asked about the explanation you have just given, then answer the questions to the best of your knowledge.





***





Performer: Lee Hyun-gul 
Some Thoughts on Expression-The Will to Turn Concept into a Work of Art

† When the viewers approach the actor, he will address them as calmly as possible. The actor is to be seated while speaking.

Hello, I would like to talk to you about a situation where a single word is transformed into a work of art.
There was an artist who had long thought about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express the meaning of tolerance through a work of art. This artist had received formal artistic training and was considered an expert painter who became extremely successful for creating paintings called Minjung misul. This artist typically painted landscapes full of people who were oppressed and ostracized, but mai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disinterested observer, since he had never actually met any of these kinds of people, let alone had he ever spoken with them or had a conversation with them. As he gradually became more successful, word began to spread about this fact of his work. People began to ask whether he really knew about the lives of the oppressed people that he painted. However, it seems that this artist was skeptical about the idea of being able to "really know" about other's lives. It seems that he felt that objectively meeting with these downtrodden people and seeing their living conditions did not mesh well with an artistic attitude. If the artist did eventually feel anything like sympathy, it would end up ruining his objective viewpoint and consequently, the intention that the artist was trying to express would be destroyed. That is why instead of becoming a documentary artist who objectively observes and describes the world, the artist decided to adopt the attitude of a novelist who captures society through metaphors. So the artist did not bother paying any attention to the criticism around him. However, he hadn't produced a new work in nearly two years, during which time he remained locked up in his house. His friends became worried and even when they came to look for him, he wouldn't open the door, nor would he answer the phone when they called. No one knew if he had decided to break all of his brushes in half because he felt he was an utter failure, or if he was struggling alone in order to achieve a grand, ambitious masterpiece. Then one day, all of a sudden, he reemerged in the outside world. He displayed around eight pieces in an exhibition and the canvases were completely filled to the brim with images that could only be called abstract painting. The title of the work was Tolerance. How did he in fact capture the meaning of Tolerance, such an abstract expression, on canvas? Whereas normal people were interested in the style of painting he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people who knew him best stopped to consider the mental anguish that the artist must have gone through. Is it possible to truly express Tolerance through a work of art by simply attaching it as a title? And is it really possible to pour all of the meaning of Tolerance into a small square canvas? Is it that art might in fact not be able to express everything?
Most of his works were monochrome paintings. Some of the paintings were done in a single color and painted so delicately that the canvas itself became visible, while in other works the paint was mixed together so densely that it became a single muddy mass. Some of the hues were mixed colors and others were primary colors. In other words, there were colors that were so muddled they couldn't be called gray, beige or dust, while at the other end, there was a red that was so garish and weirdly amateurish that it seemed to have been squeezed right out of the tube. Is it that the artist was trying to apply the meaning of tolerance to his materials of canvas and paint? Or was he bestowing a sense of forbearance to the viewers who can understand this kind of intention? This artist gave the title to these pieces after they were exhibited; he never actually explained the context or intentions behind his work. Even though he continued to make his artwork, he never tried to explain it, even once. Presently, this artist is making artwork on the subject of "knowledge."

† End the explanation.

† Adopt a pose that signals to the viewers that the explanation has ended.

이 글은 김홍석의 작품 <사람 객관적-평범한 예술에 대해 People Objective-Of Ordinary Art> 에 포함된 텍스트이자 배우들에게 주어진 대본입니다.

전시: 평범한 이방인 Ordinary Strangers
2011년 4월 9일-2011년 5월 1일
아트선재센터, 서울

***

책임배역: 최보광 
도구에 대한 소고-의자를 미술화하려는 의지 

† 관람객들이 자신의 위치에 오면 최대한 밝게 그러나 부담 없게, 그래서 편안함을 느끼게 그들을 맞이 한다.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의자란 사물이 어떻게 미술적 표현으로 전환되는 지에 대해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
의자란 일반적으로 다리가 서너 개 그리고 등받이 혹은 팔걸이가 있기도 한 사물이며 사람이 사용하고 주로 앉는 자세를 위한 도구 입니다. 미술가들은 아마도 재료, 크기, 형태 그리고 색상의 변화를 통해 의미를 발생시킵니다.
사실 우리는 별로 생각해 볼 기회가 없는 것이긴 합니다. 어떤 미술가가 의자를 미술로 표현할 때, 그것이 우리 주변에서 보는 것처럼 평범하게 제작된다면 우리는 실제 의자와 미술가가 만든 의자간의 차이를 못 느끼게 될 겁니다.
얼마 전에 만난 어느 미술가는 다섯 개의 의자를 제작하였습니다. 이제 그 의자에 대해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
먼저 첫 번째 의자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는 의자를 만들기 위해 재활용 가게에 들러 여러 개의 여행용 가방을 구입했습니다. 그가 완성한 의자의 형태는 앉는 부분으로 보이는 뉘어진 여행용 가방 하나, 그리고 등받이용으로 보이는 세로로 세워진 여행용 가방 하나, 마지막으로 의자 다리용으로 보이는 좀 더 작은 크기의 두 개의 여행용 가방이 그것입니다. 이러한 조합으로 하나의 의자가 탄생되었는데 그는 이러한 조합의 여행용 가방의자를 10개 정도 만들었습니다. 그리곤 이 의자들은 청동으로 주조하였습니다. 주조하였다는 뜻은 뜨거운 불에 녹인 청동을 거푸집에 부어 물건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청동으로 주조한 이유는 이 의자들을 공공 장소에 설치할 생각이었기 때문입니다. 광장을 거닐던 사람들은 여행용 가방 형태의 의자에 자연스럽게 앉을 수 있어 보였습니다. 사람이 앉는 부분까지의 높이는 약 40센티 정도였으며, 전체적인 형태는 매우 근엄해 보이며 현대적인 감각이 있고 익살스러우면서 약간은 고독해 보였습니다. 

† 의자의 형태나 조합 과정을 설명할 때 가급적이면 행동을 자제하고 단순히 구두로 설명하기를 권한다. 

이 의자는 크기, 형태, 색상보다는 재료가 강조된 작품으로 보입니다. 그럼 왜 이런 의자를 만들었을까요? 그는 이 작품에 <진보를 위한 의자>란 제목을 부여했습니다. 진보란 역사 발전의 합법칙성에 따라 사회의 변화나 발전을 추구한다는 사전적 의미가 있으나 이 미술가는 변화와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이동하는 사람들과 그의 삶에 대해 주목한 것 같습니다. 그러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여행을 많이 할 것이라 생각하고 그는 여행용 가방을 작품화하기로 결정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은 두 번째 의자에 대해 설명해 볼까 합니다.
그는 이 작품의 제목을 <정의의 의자>라 명했습니다. 정의란 의미는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를 말합니다. 철학에서는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를 뜻합니다. 미술가는 의자의 올바른 도리 혹은 공정한 도리가 무엇일까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의자의 편안함이라던가 의자의 형태에 따른 상징적 의미와 같은 것보다는 의자 자체를 주체화해야 한다고 판단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는 단순히 앉을 수 있는 것을 만드는 목적이 의자로서의 도리를 지키는 것이라 생각했고 그래서 그는 조그만 돌 하나를 선택했습니다. 그 돌은 사람이 앉기 적당한 크기와 높이 심지어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매우 편해 보였습니다. 제목을 통해서 이 돌을 바라보면 의미가 충분히 전달이 되는데 망연히 바라보면 이것은 의자라기 보다는 돌이고, 이렇게 돌을 운반해 놓은 행위의 결과가 과연 보는 이들에게 의자라고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요? 이 미술가는 이러한 딜레마에 대해 개의치 않아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정의 의자>는 돌 한 덩어리가 되었습니다.
다음은 세 번째 의자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 의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실제로 만들어지지 못했고 그래서 미술가의 상상 속에, 그의 계획서 속에서만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프로젝트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 의자를 소개하겠습니다.
그는 이 의자에 <권리의 의자>란 제목을 부여했습니다. 권리라 함은 이익과 권세를 뜻하기도 하고 타인에 대하여 당연히 요구할 수 있는 힘이나 자격 등을 말하는 것으로 공권, 사권, 사회권 등이 있습니다. 반대말은 의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러한 의미를 위해 특별한 형태를 가진 의자를 만들거나 특별한 재료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특별한 색상이나 크기에 변화를 준 것도 없습니다. 그는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의자 여러 개를 수집한 다음에 길거리의 구석이나 건물의 꼭대기, 혹은 5층 높이의 건물 외벽 등에 위치시켜 놓으려 했습니다. 건물 꼭대기나 건물 외벽은 추락 등의 위험한 요소가 있기 때문에 의자들은 단단히 고정시켜야 했습니다. 건물 꼭대기나 건물 외벽에 설치된 의자에 앉은 사람들은 아래의 풍경을 내려다 볼 수도 있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위치한 의자에 앉은 사람은 길을 걷는 여러 사람들을 마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의자에 앉은 사람은 다른 보행자들에게 쉽게 노출됩니다. 그의 계획에 따르면 대부분의 의자들은 시내 한복판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 범위는 3,000㎡, 약 900평쯤 되었습니다. 수량은 40개 정도입니다. 과연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이 의자에 접근할 수 있을까요? 평범한 의자이기 때문에 비바람에 쉽게 손상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 지역 행정부처나 관련 건물주로부터 의자 설치에 대한 허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공공 미술품에 대한 그의 제도적 식견이 떨어져서 이런 제안을 한 것일까요? 그는 오히려 이렇게 설치 불가능한 상황이 자신이 제안하는 <권리의 의자>의 개념과 부합한다고 생각한 것일까요? 세상에 공개되지 못한 이 의자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상상과 실현되지 못한 제안도 미술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다음의 네 번째 의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 의자는 약 1년의 기간에 걸쳐 제작되었고, 그 이유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과 충분한 예산 확보를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그 만큼 노력을 요하는 의자였고 그래서 그는 이 의자에 대해 애착이 강할지도 모릅니다. 기술적인 문제라 함은 의자 쿠션 내부에 설치된 매우 정교하고 안전한 온도 조절 기능을 말합니다. 그는 먼저 1978년에 출시된 폴트로나 디 프루스트Poltrona di Proust란 이름의 의자를 구입했습니다. 이 의자의 디자이너는 멘디니Alessandro Mandini이고 그는 폴 시냑Paul Signac란 화가와 협업을 통해 일인용 의자를 완성했습니다. 외형은 18세기 프랑스의 네오바로크스타일로 되어 있고 의자의 프레임과 쿠션 전체는 인상주의 점묘법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형태 색상 모두 매우 화려한 의자입니다. 높은 가격의 이 의자를 5개 정도 구입하여 그 내부에 자동차 시트나 전기 장판과 같이 전기 열선을 장치했습니다. 심지어 마사지 기능도 추가하여 이 의자에 앉아 스위치를 켜면 따뜻함 속에 마사지까지 받을 수 있게 된 겁니다. 이 의자의 판매 가격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비싸다고 보면 될 겁니다. 그는 이 의자에 <민주주의의 의자>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 이러한 고가의 화려한 의자에게 이런 이상한 제목을 부여한 것에 대해 의문이 들기 마련입니다. 민주주의란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는 제도. 또는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을 말합니다. 혹시 그는 국민의 권력에만 의미를 적용한 게 아닐까요? 매우 냉소적으로 현재의 민주주의 사상에 대해 풍자하려 한 것은 아닐까요? 아니면 우리 모두 민주주의는 독재와 전체주의 등을 극복한 사상이니 만큼 이 사상을 대할 때 우리는 항상 겸허히 존경심을 가득히 담아 최고의 사상적 선善으로 우러르려는 태도에 대해 비판하려 한 것일까요?
다음은 마지막 의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 의자는 벤치로 제작되었으며 공공 장소에 설치되었습니다. 미술가의 의도는 의자이지만 앉을 수 없는 의자를 제시하는 것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앉는다는 행위는 ‘휴식’, ‘정지’, ‘거주’, ‘안정’이란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보고 그와는 반대의 상황 그러니까, ‘노동’, ‘진행’, ‘이동’, ‘변화’ 과 같은 행동적 상황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철조망더미를 이용하여 벤치를 만들었습니다. 철조망 더미란 철조망으로 외부 형태를 만들고 내부 속까지 철조망이 꽉 차있다는 뜻 입니다. 이 벤치는 세 개가 제작되었고 각각의 형태는 모두 달랐습니다. 하나는 한글의 니은 자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하나는 원의 형태를 띠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한 개는 니은 자 형태에서 내부 각이 예각이 되게 하여 각이 진 부분을 땅에 고정하였습니다. 각각의 크기는 거의 비슷하였지만 그 높이가 무려 8미터나 되는 것도 있었습니다.

† 벤치의 형태를 설명할 때 가급적이면 행동을 자제하고 단순히 구두로 설명하기를 권한다. 

이 장소를 찾는 사람들이나 그 주의를 걷던 사람들은 이 의자에 앉을 생각을 전혀 할 수 없는 그저 바라만 보아야 하는 상황을 연출한 겁니다. 미술가는 이 의자에 <혁명의 의자>라고 제목을 부여했습니다. 이상으로 제가 얼마 전에 만났던 어느 미술가의 의자 작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책임배역: 장소연 
순수한 물질에 대한 소고-돌을 미술화하려는 의지

† 관람객들이 자신의 위치에 오면 부담스럽지 않게 자신에게 집중하도록 행동을 취한다. 그러나 너무 부산하지 않게, 그리고 혼돈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안녕하세요, 저는 돌로 이루어진 저의 미술 작품에 대해 설명할까 합니다. 제가 완성된 작품에 대해 설명을 드리는 것이 아니라 돌에 대한 저의 작품 계획서라고 보면 됩니다. 이 작품은 도시지정학적 의미를 내포한 공공적 제안으로 도시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기념비이자 공원입니다. 돌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물질입니다. 우리가 여행을 가서 무언가 기념하고자 할 때 흔히 돌멩이를 들고 오기도 합니다. 제주도에 가서 현무암을 들고 오는 일은 자신의 추억을 물질을 통해 항상 간직하고자 하는 의미이겠지요. 수석은 수집의 의미를 너머 자연에 대한 인간의 숭고한 경외심을 위한 것으로 수집가는 구도자의 자세로 돌을 수집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오랜 동안 관조하기도 합니다. 미술가들도 돌을 보면 이러저러한 상념에 젖기 마련이지만 돌의 물질적인 면을 관찰하여 이를 해석하는 과정은 보통 사람들에겐 낯설기 때문에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돌을 수집하여 전시장에 나열 하기
돌이 있는 장소에 사람들을 초대하여 돌을 보여 주기
여러 돌을 수집하여 이를 조합해 보기(쌓기, 병렬로 세우기, 붙이기 등등)
돌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어떤 형태로든 조각하기
돌을 캐스팅한 후 이를 청동, 석고, 실리콘, 흙 등의 다른 재료로 변환 하기
돌을 화폭에 그리기
돌을 사진 찍기
돌을 비디오로 촬영하기
돌을 던지며 놀기
거대한 돌을 그 현장에서 자르기
돌을 가루로 만들어 다른 형태로 만들기

이렇게 수많은 방법이 있습니다만 미술가들은 돌을 마치 동네 야채 가게에서 사온 감자 다루듯이 쉽게 대하진 않습니다. 그러니까 감자보다 돌을 조금 더 신화화 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돌은 무언가 인간에게 추상적으로 다가 오는 힘이 있어서 그런가 봅니다. 멋진 돌을 발견한 미술가가 이를 조각하거나 혹은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하는 일이 혹시 인간의 무한한 이기심과 욕망 때문이 아닐까 싶어 감히 건드리지도 못하는 경우도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돌을 공개하고 싶은 미술가들은 관람객들과 함께 돌이 있는 장소로 찾아 가기도 합니다. 어떤 미술가들은 돌을 조각한다는 자신의 태도가 불경스럽다고 느낀 나머지 돌의 표면에 아주 조그만 흔적만 남기기도 하고, 돌로 대체할 만한 콘크리트를 조각하기도 합니다. 물론 거대한 돌을 마음대로 조각하고 원하는 장소에 이동시키는 미술가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가 도덕적으로나 관습적으로 비난 받을 일은 아닙니다. 아시다시피 그러한 미술품들은 오랫동안 보존되어 역사성을 내포한 새로운 개체로 대접을 받기도 하고, 심지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돌을 사용하여 하나의 미술작품을 제시해볼까 합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고독한 여정>입니다. 이 작품은 장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스펙타클한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그렇습니다. 그래야만 돌이 돌로 보이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고층빌딩으로 가득 찬 도시를 선택합니다. 이 작품은 빌딩과 빌딩 사이에 장소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빌딩 하나를 구입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후 빌딩이 있던 그 장소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게 모든 것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면 빌딩과 빌딩 사이에 빈 공간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후 돌에 대해 일가견이 있는 분과 함께 전국의 돌산, 가능하면 전세계의 돌산을 탐방하여 형태와 의미가 가장 우수한 돌을 수집합니다. 가능하면 작은 돌부터 커다란 암석까지 수집해야 합니다. 어느 정도의 양이어야 하면 약 50층 높이의 건물 내부에 가득 채울 만한 양이어야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돌은 풍수지리학자, 지질학자, 시인, 정원사, 건축설계사, 구조공학자 등 가능하면 산과 건축에 관계된 모든 전문가들과 함께 인공 돌산을 만들기 위해 서로 고민을 시작합니다. 이런 고민은 이 프로젝트의 가장 행복한 순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만, 전문가간의 의견 충돌로 인해 이 프로젝트가 무산되는 일만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먼저, 50층 높이의 육면체 형의 건물을 짓습니다. 이 건축물은 골격만 있고 외부 벽면이 없는 뻥 뚫린 상태의 구조물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수집해 온 돌과 암석을 전문가와 함께 차곡 차곡 1층부터 쌓아 올립니다. 그리하여 건물의 45층 높이의 돌산을 만듭니다. 가능하면 이 돌산에 어울릴 만한 나무나 식물들을 배치합니다. 그리고 예산에 여유가 있다면 폭포와 연못 정도는 산의 적당한 부분에 설치하여 소리가 있는 산으로 변모시킵니다. 산이 완성되면 건축물의 외벽을 완성시킵니다. 그러니까 외벽은 모두 유리로 감싸고 산의 뒷면은 되도록이면 콘크리트로 마감합니다. 이런 과정이 끝나면 이 프로젝트는 종결됩니다.
이 건물과 돌산이 완성되면 거리를 지나는 모든 이들이 길거리에서 이 돌산을 바라 볼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 건물을 방문한 이들은 이 돌산의 정상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매우 가파른 경사를 가진 산이지만 이 돌산을 오르고자 하는 이들은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건물의 사용에 대한 조건 및 제한 요소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 건물에 대한 입장은 예약제입니다. 이용객은 최대 10명이며 그 이상의 경우는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산에 머무를 수 있는 최대 시간은 20시간 이내입니다. 이 건물은 24시간 이용 가능합니다. 이 건물 내에는 음식을 제공하거나, 혹은 샤워할 수 있거나, 음악이 있거나, 커피 같은 음료를 제공하거나 하는 일련의 문화적 요소는 전혀 없습니다. 입장은 무료입니다. 추락 등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건물과 산에 책임이 없습니다.

이 돌산은 태생적으로 매우 불쌍한 산입니다. 그러나 도시에서만큼은 최고로 세련된 자태를 가진 대상임은 확실합니다. 저는 이러한 돌산을 제안하지만 실제로 만들어 지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입니다. 거대한 인공 섬은 물론이고 화성탐사선도 만드는 이 시대에 이런 것쯤이야 보잘것없는 프로젝트이겠지만 만약 이것이 만들어 진다면 이것은 인간의 원죄가 확인되는 순간이기 때문입니다.




***




책임배역: 김윤아 
형태화 될 수 없는 물질에 대한 소고-물을 미술화하려는 의지

† 관람객들이 자신의 위치에 오면 최대한 차분하게 그러나 너무 날카로워 부담을 가지지 않게 그들을 맞이 한다. 

안녕하세요, 저는 물에 대한 미술을 설명할까 합니다. 물은 아시다시피 형태화되기 매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많은 미술가들이 물을 이용하여 작품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이 물질은 아마도 형태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시각화되기 어렵고 이런 이유로 해서 추상적이라 판단됩니다. 이러한 추상성 때문에 예술가들은 은유나 상징을 통해 물을 사랑으로, 냉정으로, 아름다움으로, 혹은 생명으로 표현하였나 봅니다.
저는 그러나 물을 생각하다 보면 어느 새 눈물이 생각나곤 합니다. 눈물은 바닷물, 강물보다 그 양이 크게 적고 심지어 빗물처럼 운동감도 적지만, 제게 있어서는 사람으로부터 생성되는 매우 감정적이고 역사적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저는 눈물을 소재로 한 몇 개의 작품을 매우 좋아합니다. 제가 본 어느 미술가의 작품은 자신의 방에 설치한 것으로 벽지를 통해 눈물을 표현하였습니다. 그 방 안은 텅 비어있고 사면의 벽 중 어느 한 벽면의 벽지를 천장부터 바닥까지 약 3밀리미터의 폭으로 뜯어 낸 것이 전부였습니다. 벽지가 뜯겨 나간 자국은 마치 눈물 자국처럼 보이는데 그 길이가 천장부터 바닥까지이니 아마도 그 길이가 약 3미터 정도가 될 것 입니다.
또 하나의 작품은 조각품입니다. 이 작품 또한 실제 눈물의 크기로 만들어 진 것으로 철이란 재료를 사용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천장에서 바닥에 매달려 있는데 길이는 약 3미터에서 4미터까지 다양하며 약 100개 정도의 수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얇고 기다란, 그러니까 폭은 5밀리미터, 두께는 약 2밀리미터가 되는 매우 기다란 형태인데 그 끝은 눈물방울처럼 동그랗게 처리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이 그 주위를 지나다니면 공기의 움직임으로 그 눈물들은 흔들리게 되고 그래서 눈물끼리 부딪치면서 생성되는 소리는 매우 청량하게 때론 매우 고독하고 처량하게 들리기도 합니다.
이제 저의 눈물 작품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 드릴까 합니다. 저는 아주 평범하지만 사랑과 슬픔을 아는 사람을 만날 것입니다. 슬픔이란 것을 안다는 것은 매우 추상적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슨 의미인지는 이해할 것 입니다. 저는 그 사람을 이 장소에 초대하고 그와 사랑과 슬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 입니다. 그리고 그 상대와 함께 눈물을 흘리면서 더 이상 사랑과 슬픔이 아닌 눈물 그 자체를 느낄 수 있게 될 때 이 작품은 끝날 것 입니다.
이제 여러분께 이 작품을 보여드리겠습니다. 

† 눈물을 흘린다.





***




책임배역: 김경범 
윤리적 태도에 대한 소고-사람을 미술화하려는 의지

† 관람객들이 자신의 위치에 오면 최대한 편안하게 그들을 맞이 한다. 서서 맞이하는 것도 좋다.

안녕하세요, 저는 행동이나 행위로 이루어진 미술 작품에 대해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이를 퍼포먼스라고 통상적으로 용어화하여 퍼포먼스아트라 부르기도 합니다. 아시다시피, 퍼포먼스는 연극적 성격의 공연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관람객이 작품에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참여적 이벤트가 되기도 합니다. 또는 작품 제작의 노동 과정을 관람객에게 그대로 노출하는 것과 같은 기록적 행위도 있습니다. 심지어 영상장비의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비디오 카메라의 보급이 보편화된 세상에 있다 보니, 퍼포먼스를 특정한 장소에서 특정한 사람들을 초대하여 그 행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은밀한 곳, 사적인 곳, 타인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에서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이를 영상으로 기록한 다음에 그 영상을 보여 주는 일도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두고 퍼포먼스 작품인지 비디오 작품인지 구별해야 하는 애매한 상황도 있긴 합니다.
그런데 왜 미술가들은 퍼포먼스를 수행하고, 이를 미술이라고 명명하는 것일까요? 연극, 무용과의 차별된 요소는 무엇일까요?
저는 그 답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저는 연극적이면서, 즉흥적이기도 하고, 관객 참여적이면서도, 미술적이라 할 만한 매우 야심 찬 계획을 세워 보기로 했습니다. 대본도 있는 퍼포먼스, 제가 직접 행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들의 연습에 의해 진행되는 퍼포먼스, 무대가 아닌 평범한 곳에서 벌어지는 퍼포먼스, 사람들이 퍼포먼스를 수동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퍼포먼스, 결과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종결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열린 결말’의 퍼포먼스가 그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미술 작품이 만들어 지는 과정을 설명해 주는 사람들과 이들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에 대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미술 전시장 내부에 나열된 미술 작품들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설명해 주는 사람들과 이를 듣고 공감하는 관객이 있는 풍경을 말합니다. 이렇게 되면 작품은 있지만 눈으로는 보이지 않고,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작품이 있는 상황이 되고, 나아가 관람객 스스로 작품을 머리 속에 상상하여 만들어 갈 수 있게 됩니다. 

† 어느 한 사람을 지목한다. 

반갑습니다. 한 가지 여쭈어 볼 것이 있는데요, 근래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 있었다면 무엇이었는지 저희들에게 말씀해 주시겠어요?

† 대답을 듣고 공감하는 바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대화가 부담스럽지 않다면 계속 대화를 나누고, 그렇지 않다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종결한다.

†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이 한 이야기에 대해 질문을 받게 되면 아는 만큼 대답해 준다.





***




책임배역: 이현걸 
표현에 대한 소고-개념을 미술화하려는 의지

† 관람객들을 자신의 위치에 오면 최대한 차분하게 그들을 맞이 한다. 주로 앉아서 설명하길 권한다.

안녕하세요, 저는 하나의 단어가 미술로 전환되는 상황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미술을 통해 관용이란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지 오랜 동안 고민하던 어느 미술가가 있었습니다. 정규 미술교육을 받은 이 미술가는 원래 회화 전공으로 민중 미술로 불리는 그림을 그려서 커다란 성공을 거두고 있었어요. 주로 사회에서 억압과 차별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풍경을 그려내었는데 그는 관조자로서 그림을 그렸지 그러한 사람들과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나눈 적은 없었습니다. 그가 차츰 성공을 거두자 주변에서는 그러한 그의 태도를 두고 말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가 과연 약자의 삶을 제대로 알고 그림을 그리는 것인가 지적한 겁니다. 그런데 그 미술가는 타인의 삶을 제대로 알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었습니다. 약자를 만나 그들의 실상을 안다고 하는 객관적 태도는 오히려 미술가적 태도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 같았습니다. 혹시 동정이라도 생기게 되면 객관적 시각은 망가지게 되고 그래서 미술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는 엉망이 된다고 생각한 겁니다. 그래서 그는 세상을 냉정히 관찰하고 묘사하는 다큐멘터리 작가가 되기보다는 은유를 통해 사회상을 묘사하는 소설가의 태도를 따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주변의 비판에 대해서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는 약 2년간 신작을 그려내지 않고 집에만 파묻혀 있었습니다. 지인들은 걱정되어 그를 찾아도 문을 열어 주지 않았고, 전화를 걸어도 받질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커다란 실망을 하여 붓을 꺾어 버렸는지, 아니면 원대한 작품을 위해 고군분투를 하고 있었는지 아무도 몰랐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미술가는 드디어 바깥 세상에 나타났습니다. 약 8점의 회화 작품이 전시장에 등장했는데, 추상화라 불릴 만한 이미지가 화폭 가득히 담겨 있었습니다. 작품 제목은 <관용>이었습니다. 과연 <관용>이란 추상적 의미를 어떻게 화폭에 담았을까요? 보통 사람들은 그의 달라진 스타일에 관심을 가졌지만, 그를 잘 아는 지인들은 그가 겪었을 정신적 고통을 공감했습니다. <관용>이란 의미를 주제로 하여 과연 미술로 표현할 수 있는 걸까요? 심지어 네모난 화폭에 <관용>의 의미를 담아 낼 수 있을까요? 미술은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없는 걸까요?
그의 그림의 대부분은 모노크롬 회화였습니다. 단색조로 이루어진 그림들로 어떤 그림은 캔버스 표면이 그대로 보일 만큼 아주 얇게 펴 바른 것이었고, 어떤 것은 물감의 범벅이 되어 칠해져 있었습니다. 색상은 중간색조도 있었고, 어떤 것은 원색이 그대로 나타나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회색인지, 베이지인지, 먼지 색인지 모른 만큼 존재감이 없는 색상에서부터, 물감 회사에서 생산된 물감을 그대로 바른 듯한 강렬하지만 무언가 유치해 보이는 빨간색도 있었습니다. 혹시 이 미술가는 물감과 캔버스라는 물질에 관용의 의미를 적용한 걸까요? 혹은 이러한 의도를 이해할 관람자들에게 관용을 베푼 것인가요? 이 미술가는 작품을 전시한 이후 제목만 제시했을 뿐, 단 한번도 자신의 작품의 배경과 의도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계속 그렸지만 단 한번도 그 그림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이 미술가는 ‘인식’을 주제로 그림 그리고 있습니다.

† 설명을 마친다.

† 관람객들이 이 설명이 끝났음을 암시할 수 있는 행동이나 태도를 취한다.

このテキストはギムホンソックの作品「客観する人々—いつもの芸術(People Objective-Of Ordinary Art)」において、パフォーマーのための台本として機能した。

展覧会:ギムホンソック 「いつもの他人たち(Ordinary Strangers)」
会期:2011年4月4日~5月1日
キュレーション:Samuso
会場:アートソンジェ・センター(ソウル、韓国)


***


パフォーマー:チェ・ボグァン 
道具をめぐる考察—椅子を芸術作品に変えるために 

※鑑賞者が近づいてきたら、パフォーマーは、できるかぎり朗らかで暖かい態度で対応すること。

 こんにちは。
 さて、何でもない物、たとえば椅子を芸術的な表現に変えるにはどうすればいいのでしょうか。今からその方法について説明したいと思います。
 椅子という物体には、普通、三本あるいは四本の脚が付いています。背もたれ、時には肘掛けがあり、基本的に人々が座るための道具として考えられています。アーティストがこの物体から何らかの意味を生み出すとしたら、その素材、大きさ、形、あるいは色を操作しようとするでしょう。
 実際のところ、このようなことについて考える機会はあまりないですよね。あるアーティストが椅子を使って作品を作ることに決めたとしましょう。もしも実際の椅子の形がそのまま使われたら、通常の椅子と芸術作品として作られたこの椅子がどのように違うのか、わかりづらくなると思います。
 私は最近、椅子の作品を五つ作ろうと決心したアーティストに出会いました。そのひとつひとつの椅子について、今からお話したいと思います。

 一つ目の椅子について説明します。
 この椅子を作るにあたって、彼はリサイクル・ショップに行って、スーツケースをいくつか購入しました。ひとつのスーツケースを座面として、もうひとつを立たせて背もたれとして、さらにふたつの小さめのスーツケースを脚として使うことで、椅子の形が出来上がりました。ひとつめが完成したあと、スーツケースを同じように寄せ集めて、さらに10個ほど椅子を作りました。そして彼はそのひとつひとつをブロンズで鋳造しました。鋳造とは、何らかの形を作り出すために、ブロンズを強い熱で溶かして型に流し込むプロセスのことです。彼が椅子をブロンズで鋳造したのは、それを公共的な空間に設置するためでした。広場に置いてみると、通りがかった人々は自然と座りたくなるようで、かなり気軽に座っていました。スーツケースの形をした椅子のそれぞれは40センチくらいの高さで、全体的にがっしりとしており、とても現代的な感じが醸し出されていました。面白おかしい感じと、どこか孤独な感じの両方がありました。


※椅子の形や制作の工程について説明するとき、動いたり身振りを添えたりすることはできるだけ避けて、言葉だけを使って描写してください。

 この椅子では、サイズや形や色ではなくて、素材のあり方が強く印象に残ります。では一体どうして、彼はこのような椅子を作ろうと考えたのでしょうか? 彼はこの作品を《進歩のための椅子》と呼ぶことにしました。定義として、進歩という言葉は、社会的な変革や発展を示すものですよね。特に、歴史的な価値観から見たときにはそうです。でも彼は、変革や発展という大きなプロセスそのものではなくて、それを達成するために捧げられた人々の暮らしの方を強調するために、この言葉を使ったのでしょう。彼が作品の素材にスーツケースを選んだのは、進歩的なライフスタイルを持つ人々は頻繁に旅行するはずだと考えたからではないでしょうか。

 次に、二つ目の椅子について説明します。
 彼はこの作品を《正義の椅子》と呼ぶことにしました。ふつう私たちは、正義という言葉を、「真実を守るための道徳的な責務」というような意味で捉えています。哲学的に言えば、正義という言葉が意味するのは、個人と個人の間にある倫理的な責務です。それはまた、「積極的に社会を組み立てて、バラバラにならないようにしっかりまとめていく」というような、公的な責任を意味することもあるでしょう。椅子が守るべき責任や椅子が果たすべき公的な仕事があるとしたら、それは何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のでしょうか。彼はこのことについて考えました。作品の主題として、どれだけ快適なのか、どんな形をしているのかなど、椅子に添えられた記号的な意味について考えるのではなくて、椅子それ自体にフォーカスしなければならない。彼はそのように確信したわけです。それで、小さな石をひとつ選んだうえで、「椅子がなすべき仕事とは座らせることである」と考えました。その石は、椅子として使うと、とても快適そうでした。なめらかな表面、ほどよい高さとサイズ。人が座るのにぴったりです。ですから、タイトルを知ってからその石を見ると、作品の意味がしっかり伝わってきます。でも、タイトルを知らずにそのまま見るだけだと、椅子ではなく、単なる石にしか見えません。石は椅子に変えられた。しかもそのことは、石を別の場所に移動させるという行為だけによって為された。このことを、この作品をいきなり見た人々にわかってもらうにはどうすればいいのでしょう? このようなジレンマについて、彼はあまり気を配らなかったようです。ということで、最終的に、《正義の椅子》は単なる石にしか見えなかったのでした。

 次に、三つ目の椅子について説明します。
 いくつかの理由によって、実際にこの椅子を作ることはできませんでした。ということで、三つ目の椅子は、彼の想像の中に、いつか実現するかもしれないプランとして存在しているだけです。といっても、この椅子も彼のプロジェクトの一部なので、紹介させていただきます。
 彼はこの椅子を《権利の椅子》と呼ぶことにしました。一般的な考えとして、権利という概念は、権力と利益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ます。それはまた、誰もが正当に保持することができる権力もしくは能力として説明することもできます。あるいは、それは、市民としての権利、社会的な権利、そして私的な権利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と捉えてもいいでしょう。権利の反対は強制であると言うこともできます。彼は、この椅子を作るにあたって、特定の形にしたり、特定の素材を使ったりすることはやめました。権利の意味をきちんと捉えるためです。特定の色や形を選ぶこともやめました。そのかわり、彼は、どこにでもあるような椅子をたくさん手に入れて、それぞれをいろいろな街角やビルの屋上に起きたい、あるいは五階建てのビルの壁にも取り付けたいと考えました。ビルの屋上や壁に椅子を取り付けるときは、落ちないように、しっかり固定することにしました。ビルの屋上あるいは壁に設置された椅子に座った人々は、そこから下に広がる風景を見渡すことができます。路上で椅子に座った人々は、多くの通行人を目にすることになります。一方で彼らは、歩行者の視線に自分の姿を晒すことにもなるわけです。計画によると、ほとんどの椅子は街の中心部、およそ3000平方メートル、坪で言えば900坪の範囲に配置されることになっています。椅子の数は全部で約40脚です。人々はそれぞれの椅子と自然な形で触れ合うことができるのでしょうか? 椅子は雨や風によってすぐに傷んでしまわないでしょうか? 自治体の責任者やビルの管理者から、椅子の設置の許可を得ることはできるでしょうか? パブリック・アートの関連組織について十分な知識を持っていないからこそ、彼はこのような作品を作ろうと考えてしまったのでしょうか? あるいは、実現は不可能であるということ自体が、《権利の椅子》のコンセプトにふさわしいと考えたのでしょうか? この椅子は実際には日の目を見なかったわけですが、とはいえそれは本質的にどのような意味を持つのでしょうか? 想像されただけの椅子、つまり単なる「可能性」でしかないものを、完成された芸術作品と呼ぶことはできるのでしょうか?

 次に、四つ目の椅子について説明します。
 この椅子は1年ほどの時間をかけて作られました。徹底的な計算と、いくつかの技術的な問題の解決が必要だったからです。他の椅子よりも多くの努力を要したことから考えて、彼はこの椅子に、他の椅子よりも強いこだわりがあったのかもしれません。温度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がかなり複雑なもので、それを椅子のクッションの中に組み込むにあたって、技術的な問題があったのです。まず彼は、「プルーストの安楽椅子」と呼ばれる、1978年に作られた名作を購入しました。「プルーストの安楽椅子」とは、アレッサンドロ・メンディーニによるデザインで、画家のポール・シニャックの作品を引用したものです。形態は、18世紀のネオ・バロック様式に似ていますが、フレームと全体のクッションには、印象派の方式による点描が施されています。全体的に、とても派手な形と色をしています。彼はこの高価な椅子を五脚も購入し、その内側に、自動車のシート、電気のパネル、そして電動の温度制御装置を組み込みました。マッサージの機能も組み込まれたので、この椅子に腰掛けると、あたたかい座面からマッサージを受けることができました。具体的な金額は言いませんが、この椅子の値段は信じられないくらいの金額です。彼はこの椅子を《民主主義の椅子》と呼ぶことにしました。こんなにも高価で贅沢な椅子にこのようなタイトルをつけることは、議論を呼ぶ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普通、民主主義は、民衆が権力を持って自治を行う政治のシステムとして理解されています。あるいは、そのような政治に繋がるような思考のあり方そのものが民主主義であるとも言えるでしょう。彼は、この椅子によって、民衆の権力という概念を大げさに強調したかったのでしょうか? あるいは、もしかしたら彼は、「民主主義」という考え方の現状について、皮肉を言おうとしているのでしょうか? あるいは、独裁や全体主義を克服できるからではなく、単にもっとも高級で、贅沢で、ゆえに最高の考え方のはずだという理由だけで民主主義を称賛する、そんな私たちの態度を批判しているのでしょうか?

 いよいよ、最後の椅子について述べます。
 この椅子の形態はベンチに似ていて、それが公共空間に設置されました。彼が意図したのは、実際に座ることができない椅子を作ることでした。別の言い方をすると、「座る」ということについて考えるとき、「休む」「動きを止める」「滞在」「安全」といった言葉が浮かんでくるわけですがが、彼が考えたのは、それと逆の状態を表現することだったのです。つまり、「働く」「進む」「運動」「変化」といった言葉、あるいは何らかの動作に関わる他の言葉を思い起こさせるような、そんな状態の表現です。ということで彼は、有刺鉄線を使ってベンチを作ることにしました。基本的な骨組みを有刺鉄線で作ったあと、その内側を同じ鉄線で埋め尽くしました。同じ素材と方法で、三種類のベンチが作られました。それぞれ形は違います。ひとつはハングル文字の「ニウン」、つまり「L」の縦棒を短くしたような形です。ひとつは円形です。もうひとつは、「L」の角を内側に狭めたような形で、鋭くなった先端が地面に刺さることで安定します。
 それぞれのベンチはほぼ似たようなサイズで作られましたが、中には8メートルの高さを持つものもありました。 

※ベンチの形について説明するとき、動いたり身振りを添えたりすることはできるだけ避けて、言葉だけを使って描写すること。

 結果的にどうなったかと言うと、作品が置かれた場所を探してやってきた人たちや、たまたま近くを歩いていた人たちは、有刺鉄線のベンチに座ろうという気にはもちろんならないので、一定の距離から眺めることしかできませんでした。彼はこの作品を《革命の椅子》と呼ぶことにしました。これをもって、私が先日知り合ったアーティストが作った、いくつかの椅子の作品についての説明を終わります。


***


パフォーマー:チャン・ソヨン

純粋な物質をめぐる考察—石を芸術作品に変えるために 

※鑑賞者が近づいてきたら、パフォーマーは、丁寧に彼らの注意を引くようにする。騒々しくしたり、鑑賞の邪魔をしたりしないこと。

 こんにちは。今から石を素材とした私の作品について解説したいと思います。完成された作品の代わりに、この解説そのものを、石をめぐる芸術的な実験の提案として受け取ってもらえたら嬉しいです。この提案は、誰に対しても開かれています。都市に住む人々のための記念碑であると同時に、都市計画の側面を含んだ公園でもあるような、そんな作品の提案です。

 石はどこにでもあるので、私たちにとっておなじみの物体です。たとえば旅行のときに、旅先の思い出が詰まったお土産として、石を拾って持ち帰ることがあります。済州島に行けば、玄武岩の欠片を持ち帰ることもあるでしょう。旅の思い出は、石という物質に保存されることで、ずっと大切に守られつづけることになります。また、「水石」という習慣があります。形の良い石を収集して、それを鑑賞する文化的なたしなみです。ひとつひとつの石の優劣はさておき、この習慣それ自体に、人が自然に対して抱く畏敬の念が反映されています。水石のコレクターは、真理を探す求道者のようなものです。彼らは石を集めて、それに意味を与えて、そしてひたすら吟味しつづけるのです。アーティストもまた、石について思いを巡らせると、深く考え込まざるを得なくなります。石という素材の性質について考え、それに基づいて作品を作るとしたら、どのような可能性があるのでしょうか。皆さんはそのようなアートのやり方に馴染みが薄いと思いますので、いくつか例を挙げたいと思います。

・石をひとつ拾って展示空間に置く。
・人々を招待して、その石を展示空間で見てもらう。
・いくつかの石を集めて配置する(たとえば積み上げる、平行に並べる、互いにくっつけるなど)。
・石をひとつ選び、それを彫って何かの形にする。
・石の型を取り、ブロンズ、石膏、シリコン、砂などで成型する。
・紙に石の絵を描く。
・石を写真に撮る。
・石をビデオに記録する。
・石を放り投げて遊ぶ。
・大きな石をその場で切断する。
・石を粉末にして、それを使って別の形を作る。

 多くの方法がありますが、アーティストにとって、石を素材にするということは、近所のお店で買ってきたジャガイモ一袋を素材にすることとは大違いです。別の言い方をすると、アーティストにとって、石はジャガイモよりもずっと神格化されたものなのです。石は、人間に対して、ある種の抽象的な力を発しているかのようです。アーティストなら、石に指を触れることすら憚られると感じることもあるでしょう。石を彫ったり、別の場所に動かしたりすることは、人類の果てしない傲慢さと強欲さを象徴する行為なのではないか、と恐れているのです。それにも関わらず、石を展示したいという欲求に駆られるアーティストは、逆に、石を見ることができる場所に観客を連れていくこともあるでしょう。中には、彫ることは石への冒涜であると考えて、彫り込みを入れていない部分はできるだけそのまま残したり、石の代わりにコンクリートを使って彫刻を作ったりするアーティストもいます。もちろん、巨大な石を好きなように彫ったり、大きい石を好きな場所に移動させたりするアーティストもいます。このような態度は、倫理的な尺度や決まりによって規制されるべきではないと思います。ご存知のように、そのようにして作られた作品は、十分に長く保存された場合に、歴史を伝えるものとして、あらためて受容されることになります。さらには、地域経済を助けるものとして考慮されることもあるのです。

 ここで、石を組み入れた芸術作品をひとつ提案したいと思います。
 この作品のタイトルは《孤独な旅路》です。この作品にとって一番重要なのは、設置する場所です。なぜかと言うと、この作品には、壮大な文脈を作ることが必要だからです。そうしてはじめて、この作品の中で、石が真の力を発揮することになります。まず、高層ビルが立ち並ぶ都市を見つけなければなりません。そして、この作品はふたつのビルの間に設置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少なくとも、ビルをひとつ購入する必要があるでしょう。次に、購入したビルを壊し、更地にします。そうすることで、左右のビルの間に何もない空間が生まれます。
 それから、石について詳しい人の協力を得て、全国の岩山、もっと良いのは全世界の岩山ですが、そのすべてを洗いざらい調べて、その中から最高の形と最高の意味を選びます。さらに、もし可能であれば、もっとも小さい石ともっとも大きな岩があるといいでしょう。 50階建てのビル全体を埋め尽くすのに十分な量の石が必要だからです。それから、風水の専門家、地質学者、詩人、庭師、建築業者、構造技術者など、山と建築についてのエキスパートたちを集めて、人工的な石の山を作る方法について話し合ってもらいます。このミーティングは、このプロジェクトの中でもっとも幸福な瞬間であるように思えるかもしれません。エキスパートたちの意見がぶつかり合ったとしても、そのぶつかり合いによって、このプロジェクトの根本的な土台が崩れないようにすることが大事です。
 まず、 六角形の形をした50階建てのビルを建てます。このビルは、最初の段階では壁をつけず、構造的な骨組みだけで出来ています。次に、専門家たちの助けを借りながら、一階から順に石を積み重ねていきます。こうして、45階建てのビルの高さに相当する高さの石の山を作るのです。もしも可能なら、この石の山に似合うような木や草なども加えます。予算に余裕があれば、全体のバランスを見ながら、滝や池を作るのも良いと思います。それによって、ただの石の山ではなく、さまざまな自然の音が聞こえるような山に変わります。この山が完成したら、骨組みに外壁を付けます。全面がガラスで出来た壁です。山の土台の部分は、もしも可能なら、コンクリートで固めるようにします。この工程がすべて終わったら、プロジェクトは完成です。
 完成後、このビルと石の山は道を歩く人たちの目に晒されます。この山は、誰でも登ることができます。頂上の傾斜は厳しいものですが、多くの人が登ろうとするでしょう。
 このビルの利用にあたっての決まりについてお伝えします。ビルに入るには予約が必要です。一度に中に入れる人数は10人までとなっていて、それ以上は入ることができません。山に滞在できる時間は長くても20分までに限られています。ビルは24時間ずっと開いています。食べ物の売店、シャワー、音楽がかかった空間、コーヒーが飲める場所といった、文化的な設備は何もありません。入場料は無料です。斜面から落ちたり、何らかの事故があったりしても、運営側は責任を持ちません。

 この石の山は、着想しただけの段階において、すでに哀しさを湛えています。でも、この山のターゲットは、都市の中で贅沢な生活をしている裕福な人たちなのです。また、このような石の山の制作を提案している私自身も、これが実際に建造されることには慎重です。たしかに、人工的な島が作られたり火星への飛行が計画されたりしている時代ですから、このプロジェクトが完成したとしても、特別な例ではないかもしれません。でも、もしも本当にこのような石の山が実現したら、その瞬間に、私たち人類が生まれながらに罪深い存在であるということが、あらためて明らかになってしまうと思うのです。


***


パフォーマー:キム・ユナ 
形を成さない物質をめぐる考察—水を芸術作品に変えるために

※鑑賞者が近づいてきたら、パフォーマーは、刺々しくしたり、無理強いしたりすることなく、穏やかな態度で話を進めること。

 こんにちは。今日は、水についての芸術作品について説明したいと思います。ご存知のように、水という物質は、造形することが難しいという性質を持っています。それでもアーティストたちは、水を作品に組み入れ、表現しようとします。水を視覚的に表現することが難しいのは、その形を捉えることが簡単ではないからでしょう。水が抽象的な素材として考えられてきたのはそのせいだと思います。アーティストたちは、おそらくそのような抽象的な性質に注目して、水をメタファーあるいはシンボルとして使ってきました。水を使って、愛、洗練、美、あるいは人生さえも表現するわけです。
 でも私の場合、水について考えると、どうしても涙について考えてしまいます。涙は海や川のように大きなスケールの水の集まりではありません。雨に似ているところはあるかもしれませんが、いずれにせよ、涙は人間が生み出すものです。つまり、涙はひどく感情的なものであり、歴史的なものでもあります。
 だからこそ、私は、涙を要素として扱う芸術作品が好きなのです。あるアーティストは、彼自身の部屋に貼られた壁紙を使った作品で、涙を表現することに成功しました。部屋の壁のひとつは、天井から床まで伸びる幅3ミリの「涙」によって切り裂かれていました。それ以外、部屋は空っぽでした。それがこの作品のすべてです。つまり、壁紙の裂けた部分が涙の痕に似ていたのです。それが天井から床まで続いていたことを考えると、長さは3メートルくらいだった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また、涙を表現した彫刻作品も知っています。素材は鉄で、粒の部分は実際の涙の滴と同じようなサイズです。それがたくさん繋がって、3メートルから4メートルの長さになっています。この作品は、これが100本ほど天井からぶら下がったものでした。近づいてみると、ひとつひとつの滴の長さは5ミリくらい、幅は2ミリくらいで、それが連なって、全体としてひどく細長くなっています。先端は丸くなっていて、まさに涙の形そのままでした。人々が通ると、この「涙」のすべてが空気の流れによって動き、さわやかな音が聞こえるようになっていました。その響きは、人によっては、孤独で悲劇的な音のように感じられるかもしれません。
 私の作品の中にも、涙を使ったものがあります。その作品について、具体的にお伝えしたいと思います。まず、愛と悲しみの両方を知っている、一般の人と出会います。悲しみを知っているという考えはどちらかというと抽象的なものですが、多くの方はそれが何を意味するのかわかってくれると思います。その方をこの場所に招待して、愛と悲しみについて一緒に話します。愛と悲しみについての会話が終わって、その方も、私も、涙が溢れてくるのを感じたとき、この作品は終わります。
 では、この作品を今からお見せします。

※ここで涙を流す。




***


パフォーマー:キム・ギョンボム 
倫理的な態度をめぐる考察—人々を芸術作品に変えるために

※鑑賞者が近づいてきたら、パフォーマーは、可能な限り落ち着いて彼らを歓迎すること。立ったままで彼らに顔を向けること。

 こんにちは。今日は、行為や状況を要素とする芸術作品についてお話したいと思います。このような種類の作品は、普通は「パフォーマンス」と呼ばれます。あるいは「パフォーマンス・アート」と呼ばれることもあります。ご存知のように、パフォーマンスは、演劇と同じように、台本に基づいて進行するものを指すこともあります。舞台で行われるようなタイプですね。あるいは、観客が作品に巻き込まれるような、参加型のイベントを指すこともあります。さらに、パフォーマンスの中には、ドキュメンタリーの側面を持つ作品もあります。その作品を作る過程で行われた作業が、そのまま観客の目に晒されるようなタイプです。現代ではテクノロジーが発展していますので、ビデオカメラをはじめとして、さまざまなメディアが身近にあります。ですから、もはやパフォーマンスは、ある特定の場所だけで起きる出来事だとは限りません。特定の人たちだけに向けられるべきでもありません。たとえば、誰も知らない場所、個人的な空間、あるいは他の人に出くわすことがないような領域で、ある行為が行われ、それが記録され、その記録が送信されて、ようやく観客に届くというような場合もあります。映像作品なのか、パフォーマンス作品なのか、決めることが難しいような例もあります。

 では、なぜアーティストたちはパフォーマンスを実行して、それを芸術作品と呼ぶのでしょうか? そうした作品と舞台やダンスとの違いはどこにあるのでしょうか?
 私はこの質問に対する答えを持ち合わせていません。でも私は、野心的な決意をしました。演劇的であると同時に偶発的なもの、高尚なアートのようでありながら観客の参加を含むものを計画して試してみよう、と。それは、台本のあるパフォーマンスになると思います。私自身が参加するのではなくて、役者の方々がリハーサルから実演までを担当します。会場はいわゆる舞台ではなくて普通の場所です。観客は、受け身になってそれを見るのではなくて、自発的にそれに参加することになります。定まった結末のない、どうやって終わるのか誰にもわからないような「オープン・エンド」なパフォーマンスです。私のアイディアは、パフォーマーは芸術作品の制作プロセスを説明し、観客はその説明を聞くというものです。別の言い方をすると、展示空間に配置された物体ではなくて、芸術作品について説明する人々とそれを聞く人々によって構成される風景そのものが作品となります。つまり、目には見えませんが、芸術作品がそこにあるということになります。目に見えない、でも作品はそこにある。その姿は、観客のひとりひとりの頭の中で、違った形で想像されるわけです。

※誰かひとりを指差す。

 はじめまして。あなたに質問があります。最近、幸せだなあと一番つよく感じたのはいつですか? そのときのことを今ここで皆さんに話してもらうことはできますか?

※その人の話を聞く。興味を引かれた点について、全員で話し合う。負担に感じない範囲でその会話を続ける。もし負担に感じたら、やんわりと会話を終わらせる。

※説明した内容について質問を受けたら、知っている範囲でしっかり答えること。




***


パフォーマー:イ・ヒョンゴル  
表現をめぐる考察—コンセプトを芸術作品に変えるために

※鑑賞者が近づいてきたら、パフォーマーはできるかぎり落ち着いた態度で彼らに対応すること。パフォーマーは席に着いたまま話すこと。

 こんにちは。今日は、たったひとつの言葉が芸術作品に姿を変える、そんな状況についてお話したいとおもいます。
 芸術作品によって「忍耐」を表現するにはどうすればいいのか、ずっと考えてきたアーティストがいました。彼はしっかりとした美術の教育を受けた専門家で、「民衆美術」と呼ばれる絵画によって、高い成功をおさめた画家でした。彼の典型的な作風はある種の風景画です。とはいえ、彼の風景は、たくさんの虐げられた人々や疎外された人々で埋め尽くされています。でも、彼の作品の多くは、状況を遠くから眺めて描かれているようでした。それもそのはず、彼は、そのような人々に話しかけたことも、彼らと会話をしたことも、そして会ったことすらもなかったからです。この事実は、だんだんと彼が成功していくにつれて、少しずつ広まっていきました。虐げられた人々の暮らしについて本当に知っているのか、いろいろな人が彼に尋ねるようになりました。でも彼は、他の人たちの暮らしを「本当に知る」なんていうことが本当に可能なのかどうか、疑問を持っているようでした。虐げられた人々の生活の実態を見ることは、アーティストが取るべき態度とうまく噛み合わないのではないか、と感じていたようです。仮に、人々の生活の実際のところを描こうと考えたとしても、人々に対して何らかの感情、たとえば同情の念を持ったなら、それによって客観的な視点は崩されてしまいます。そしてついには、やろうとしていた表現が壊れてしまうでしょう。だから彼は、世界の実態を客観的に観察して描写するドキュメンタリー作家のようになるのではなくて、メタファーを通じて社会を捉える小説家のような態度を取ることに決めたのでした。ということで、彼はそういった批判に耳を貸さなかったのです。あるとき、2年近くも、新しい作品を作らずにずっと家に籠ったことがありました。友人が心配して彼の家を訪れたり電話を掛けたりしたのですが、彼はドアを開けず、電話も取りませんでした。自分の仕事を失敗と感じて、道半ばで筆を折ることに決めたのか、あるいは壮大で野心的な名作を作るためにひとりで格闘していたのか、誰にもわかりませんでした。ある日のこと、突然、彼は外の世界に出てきました。展覧会を開催して、8点の絵画を展示したのです。どの絵も、いかにも抽象的なイメージで埋め尽くされていました。タイトルは「忍耐」でした。「忍耐」などという抽象的な表現を、彼はいかにしてキャンバスの上で表現したのでしょうか? 一般の人々は彼の絵のスタイルにしか関心を持たなかったのですが、彼のことをよく知る人たちは、そこに至るまでに彼がくぐり抜けてきた精神的な苦痛について思いを馳せました。タイトルに「忍耐」とつけるだけで、真の意味で「忍耐」を表現することが可能なのでしょうか? そして、忍耐が持つすべての意味を小さなキャンバスに注ぎ込むことは本当にできるのでしょうか? そもそも、アートが何かを表現するということ自体が不可能だということなのでしょうか?
 その展覧会に出されていた絵の多くはモノクロームでした。そのうちいくつかは、一色だけが丁寧に塗られたもので、それによってキャンバス自体が前面に出てきます。ほかの作品では、何種類かの絵の具がじっくりと混ぜ合わされて、くすんだ色の塊が出来上がっていました。つまり、この展覧会の絵に使われた色彩は、混色もあれば原色もありました。あまりにも混ぜられたために、灰色ともベージュとも言えないような、あるいは埃の色のような、そんな色がありました。一方で、まるでチューブからそのまま出されたかのような、素人が使うような生々しい赤色もありました。つまり彼は、「忍耐」というコンセプトを、キャンバスや絵具に対してあてはめたということなのでしょうか? あるいは、辛抱するという感覚を、わかる人だけにそのまま伝えようとしたのでしょうか? 絵のタイトルは展覧会が終わったあとに決められたので、作品の文脈や、背後にある意図について、彼が自分で説明する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この展覧会のあとも制作を続けましたが、結局、このシリーズの作品について説明することは一度もありませんでした。そして現在、彼は、「知識」というテーマで作品を制作しています。

※説明を終える。
※鑑賞者に向けて、説明が終わったことが伝わるようなポーズをすること。


翻訳:奥村雄樹
Translated by Yuki Okum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