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 really want something real?’


‘정말 사실적인 것을 원하는가’





Jinsang Yoo
Art Critic

유진상
미술비평가
Starting from the exhibition <I'm gonna be a number one> in 1988, <Heromaniac> and <Making a Star> in 2004, through <Neighbor's Wife> in 2005 to <In through the outdoor> in 2008, the keyword for Gimhongsok's art is “fiction”. In <I'm gonna be a number one>, the spectators enjoyed the opening party while 'appreciating' an anesthetized pig sleeping along with the artist- Gimhongsok hanging on the wall next to it. Here, 'No. 1' is the metaphor of the sleeping artist hanging vertically on the wall. In 2000, the artist attempted to make two nameless girls a star or let anyone who can to strike the heroic pose of a football goal keeper in his exhibition. Such works like ‘1st South Pole Centennial' of <Antarctica> and 'G5', a video work where five Koreans with different occupations sings the national anthems of the chosen powerful nations in Korean, humorously transforms common 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Neighbor's Wife>, Gimhongsok borrows well-known works by other artist's and incorporates it into his art. Under the work title of ‘Read’ the origin of the images are identified. All the works mentioned above are contents of ‘incidents’ that hardly happen but are forcibly made to happen by the artist. They are not just impossible incidents, but those that the artist believes can be well desired or thought by anyone. The artist who falls asleep in front of the spectators during his exhibition opening, a spectator’s wish to be a great goal keeper, girls who may become a star, an exhibition that may or not open once in 100 years, and the excellent works of other artists...

In order to understand Gimhongsok’s work, we have to identify two types of fiction that is in it. On the one hand, there are fictions that are continuously imposed by existential conditions such as ideology, class, human race, gender, cultural hierarchy,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etcetera that are internalized by individuals. Then, there is a new fiction that is created by the artist to go against the other which alienates a subject and pushes it away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This can be referred to as ‘fiction on fictions’. To Gimhongsuk the significance or the existence of visible objects is not important. Instead, the artist observes the possibility of ‘danger’ that lingers within invisible relationships of those things and what is implied in it. Wittgenstein mentioned ‘The world is everything that is happening’, and for Gimhongsok, the world is ‘everything that may happen’. They mean the same but the only difference is that if the former is a proposition that can always be true, the latter is a maximal pseudo-proposition which doesn’t determine whether it is the definition of the world or of fiction. The works exhibited in <In through the outdoor> are accomplished with such fiction and pseudo-propositions.

The exhibition consists of five parts. In the lobby, a series of the ‘foreign laborer performance’ dressed in animal character costumes is displayed. In the main hall, a ‘portrait’ series that commemorates various minorities are displayed. From the first through the second floor, oil painting works of the ‘Read’ series that began from <Neighbor’s Wife> in 2005 are exhibited. On the second floor, oil paintings based on texts are placed along with sculptures that are made by rotating texts. Lastly, there is a work that the artist deliberately made to look like left over corrugated cardboard boxes.

The works from the first part has already been introduced in the 2006 Gwangju Biennale. The content of this series mainly represents a set up performance by hired illegal immigrants from North Korea or the third world dressed up in costumes that evoke cartoon characters from Disney or Columbia Pictures. A text plate that explains each work in detail is mounted on the wall near the actual piece. At first glance, we do not know whether there is a real person inside the costume. However, after observing for a while the audience realizes that it is just a fictive character with no one contained inside. In this series, the bunny characters are placed like a sculpture in the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 however, the other case of ‘Bunny’s Sofa’, it can be utilized as actual furniture. Through this series, a convincing impression that there is someone going through a tough performance in return for monetary compensation is created by the artist.

The second part deals with tragic personalities who underwent extreme and improbable conditions and finally met a miserable fate, just because they are minorities. For example, there is a North Korean female spy who dies after being hideously (and sexually) tortured by the American military, a disabled Japanese from the Philippines who ends up dead after a transsexual operation and various ills of life, an East Timorese who works to earn money in Korea (actually a Korean actor who acts like an East Timorese) and a prostitute who gets paid on the condition of being revealed publicly during the opening of this exhibition. The presented works are the key objects that express the particularities of the character in question, such as, the towel that is supposedly drenched in semen which represents the tortured female spy, a half transsexual shaped figure reminiscent of Rodin’s sculpture, a fictive video where an actor disguised as an East Timorese and a small cash box that contained the cash for the opening performance involving a prostitute. Text plates that explain the behind stories of each work in English and Korean are coupled with each work.

Among these, there is a work that is included to commemorate a friend who is specially chosen by the artist, although not a minority. This work is not a general ‘portrait’ but it relates to the ‘Read’ series. The artist’s signature method of incorporating another artist’s work into his work is reflected in this work by the parody of Joseph Kosuth’s ‘One and Three’ series to create Gimhongsok’s ‘One and Three Friends’. This work is comprised of a photographic record of the artist’s female friend whom the artist spent his childhood with and now has become a professor, a text enlis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friend’ and the actual presence of the friend who stood next to the work during the exhibition opening. The theme of ‘friend’ that has continuously appeared in Gimhongsok’s work echoes the concept of minority in the second part, and reverberate the identity of the artist who adopts the works by other artists in his works like in the third part.

The ‘Read’ series is actually the initial project by Gimhongsok. The enlarged prints of scanned images extracted from other well-known artists’ catalogues and were exhibited as the artist’s own works at the Cais Gallery, Seoul in 2005. The work title ‘Read’, indicates that there is a provenance to it. Referencing and appropriating has been the method in his work for a long time, and he tried to push them to extremes in this project. The reason why the artist used oil paint instead of using pictures for the series in this exhibition seems to be because he wanted to avoid the task of cropping the frames of a photographic image in the process of duplicating it. Gimhongsok reproduced the work images of Maurizio Cattelan’s 'Love lasts forever' in 1997 and performance shots of Francis Alys and Peter Land from their catalogues.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selected works are not a one on one reproduction of a painting but the reproduction of the photographs of sculpture and performance, so this makes it an ‘appropriation’ not a mere reproduction. Although it has the same formality, appropriating is unlike reproducing. It is not simply a copy of something but it produces an appellative relationship through the reproduction. Hence, the work title is of high significance. Gimhongsok reveals all the trickeries that mobilized in the process of making work, every so often with some delay. Accordingly, like the title ‘Read’ indicates, a trick is no more a trick but a part of the conceptual statements of the artist.

In the fourth part, the oil paintings and sculptures are peculiar because they are utiliz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ext is incorporated within its proper space. Short sentences and words that starts with the alphabet ‘F’ written in cursive letters are shown in the paintings that read ‘Oily Heaven Rising Ground, Five Clouds One Hole / IN DIFFERENCE / BANANAS / The (W)hole of Love / Liberty of Star / Victory / Friend / Use the Door Access and Correspondence / Sphere Out Your Side of Love (or Love is Out Side of Your Sphere) / Look Faith from Both Sides’. Those texts seem to have secret behind it but they make mutual-demonstrative network with other works where those text appears repetitively. In an artist statement for the work ‘One and Three Friends’, Gimhongsok stated, “As it has always been, it is strangers who listen to my concerns without any judgment. However, the mistake of regarding such stranger as one’s friend should not be made.” We can see such words like ‘stranger’, ‘friend’, ‘coolness (or indifference)’ and ‘Love is Out Side of Your Sphere’ cross over each other. This means that any relationship of intimacy can be collapsed in front of a fictive condition by what the world imposes. Gimhongsok decodes and encodes it with another fiction. Thus, it is like overwriting on the antipodes of natural relationships or facts.

The sculptural pieces, ‘Foreign, Foreigner’ and ‘Fragment, Fragmentation’, consist of words starting with ‘F’ (Sometimes it has a metaphor of vulgarism). The insulting nuance of the word seems to be covered by the candy colored words that are made into a solid body of sculpture by rotating it 360 degrees. Its exterior figure looks similar to works by artists like Tony Cragg, however, unlike the beauty that it exudes on the surface, it contains cynicism. The essence of the abstract figure that stands vertically after being perfectly rotated is implied by the meaning that each word contains. It forms a pair with the work in front that looks like abandoned coarse cardboard boxes which were actually made with much attention to detail by the artist. This exemplifies the antithesis between the coolness of an object that looks the most refined and beautiful and the positivity of the other that looks the most insignificant.

Gimhongsok’s work goes by the form of fictive binôme such as, fiction of fictions, fiction on fictions and fiction designating fictions. The series about illegal immigrants and the portrait series reveal its false nature in the overly detailed and exaggerated descriptions of the text. Nonetheless, the process that is constituted in these works reveals certain aspects that cannot be entirely defined as fiction. Here, the chance occurrence of scandals is innate in the process. This is the reason why Gimhongsok’s works does not only remain within its inner structure but also brings about direct hydrolysis with the world. Let’s take the example of ‘Post 1945’ where a prostitute –actually an actress- is invited at the opening of the exhibition. She gets paid 600 dollars for attending the opening event. On the other hand, the artist offers 1,200 dollars to whoever identifies the prostitute and the exhibition space is seized by the curiosity of the spectators. The atmosphere of the opening actually was altered due to this anticipation. Finally, after an hour of the opening, the prostitute was revealed and as soon as she was found out she received her due cash and hurried away from the space. This chaotic situation lingers in the mind of the people and the very next day this performance is criticized as an outrage by Korea’s representative daily newspapers. The main idea of the exhibition suddenly disappeared and only criticism towards the artist who defiled the integrity of a prostitute heated the internet and newspapers. The incendiary statement of the artist, ‘Let’s find out the prostitute.’ and the cash reward is a fictive poison that the artist deliberately infused in his own exhibition. This performance can be understood as a device to criticize the conceit of the cultural consumers in a first class gallery. Or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erformance created to question what is ‘politically correct’ by setting forth the criticisms of class-consciousness and capitalism. However, in both cases the attempt fails. In order to understand Gimhongsuk’s work, the whole idea behind the context of ‘what is the real story’ in his work should be realized. In spite of this, as the artist has anticipated, another fictive condition was univocally created through this particular performance.

Another example is ‘Top of the World’ where the main character Yumi Takahashi evokes the image of a building covered in various signboards, like such i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or Japan. It has a myriad of titles on the surface, but it actually consists of empty rooms that seem to have the possibility to contain anything in it. Yumi Takahashi is a fictive character or structure that is created to represent all kinds of misfortune and handicaps like aliens, freaks, the destitute, transgender, sexual minorities, the disabled, prostitutes, victims of violence and racism. The life of this character is shown as a huge crossroad of numerous incidents and is represented as a statue and text both in English and Korean. What is more noticeable than the overly exaggerated explanation of the tragic life of Yumi Takahashi, is the listed names of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labor, environment, society and religion, who declare their point of view through this tragic incident for the duration of four months after the fatal accident of this figure. It is hard not to think that the character of Yumi Takahashi is invented just as a pretext to enumerate these organizations. Thus, Yumi Takahashi’s sudden rise to a phenomenal position was necessary for the systems of the world. Here the world becomes also a pretext for the fiction.

For Gimhongsok, the function of fictive structures not only reveals the existing conditions of the world but it circulates within the relationship of meanings throughout his work. Unlike a simple parody or satire, it enables the process of streaming genuine poisonous matter into the circulation. Thus, it connects the outer and inner spaces of works. The reality in which the work is set is in the continuum of fictive processes so that the reality itself turns into fiction. The risk that is taken in the artistic process and the abyss that is created by the reality inserted between the two mirrors that are facing each other are the structural clues found in Gimhongsok’s work. Gimhongsok’s characteristic humor and irony are continuously developed to exaggerated and cynical stories that spread out to the public. Due to this aspect, we can understand why the artist prefer to use words that begin with ‘F’ like, ‘F*ck’ or ‘Fantasy’ and ‘Fascinating’. And also included in this list is, of course, the word ‘Fiction’. Through this exhibition, Gimhongsuk ask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do we expect from Art? Do you really want the truth?
1998년의 <I'm gonna be a number one>으로부터 2000년의 <Heromaniac>과 <Making a Star>, 2004년의 <Antarctica>, 2005년의 <Neighbor's Wife>를 거쳐 이번 2008년에 열린 <In through the outdoor>에 이르기까지 김홍석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를 하나 꼽으라면 그것은 바로 ‘픽션’일 것이다. <I'm gonna be a number one>에서 관객들은 마취된 채 누워 있는 돼지와 그 옆의 벽에 매달려 함께 잠이 든 작가를 ‘감상’하면서 오프닝 파티를 즐겼다. 여기서 ‘No. 1’은 바로 수직으로 매달려 잠이 든 작가를 가리킨다. 2000년에는 누구나 프로 축구 골키퍼의 영웅적인 포즈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거나, 무명의 두 소녀를 스타로 ‘뜨게’ 만들어 줄 기획들을 시도했다. <Antarctica>의 ‘백 년에 한번 열리는 제 1회 남극 전시(1st South Pole Centennial)’나 서로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인물들이 5개 강대국의 국가를 한국어로 부르는 ‘G 5’ 등은 우리가 잘 아는 정치적, 문화적 현상들을 매우 유머러스하게 전위시킨 작품들이었다. <Neighbor's Wife>에서 작가는 잘 알려진 다른 미술가들의 작품을 거의 그대로 자신의 작품으로 차용한 뒤 ‘읽을 것(Read)’이라는 제목과 함께 이미지의 출처를 밝혀 놓았다. 이 모든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사건들’을 작가의 노력에 의해 일어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것들은 단순히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 아니라 누구나 간절히 바라는, 혹은 그랬으면 좋겠다고 작가가 생각하는 그런 일들이다. 오프닝 날 찾아 온 관객들 앞에서 잠이 들어버리는 작가와 자신도 멋진 골키퍼가 되고자 하는 관객, 스타가 될 지도 모를 소녀들과 100년에 한 번 열릴까 말까 한 전시, 그리고 항상 훌륭한 남의 작품들...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허구를 구분해야 한다. 한편에는 끊임없이 실존의 조건으로 강요되는 허구들이 있다. 즉 이념, 계급, 인종, 성, 문화적 우열, 빈부의 차이 등에 의해 각각의 개인들에게 내면화되는 조건들이 그것이다. 주체를 끊임없이 세계의 중심으로부터 밀어내고 소외시키는 이것들에 맞서기 위해 작가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허구가 있다. 그것은 전자들로부터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로부터 출발한다. 그것을 ‘허구들에 대한 허구’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김홍석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눈에 드러나는 사물들의 의미나 존재방식이 아니다. 그가 주목하는 것은 그것들이 함축하고 있는, 언제든지 눈에 보이지 않는 관계들을 가시화할 수 있는 ‘위험’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세계는 일어나는 모든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김홍석에게 있어 세계는 ‘일어날지도 모를 모든 것’이다. 같은 의미지만, 전자가 최소한의 항진적 명제라면 후자는 세계와 픽션 중 어느 것에 대한 정의인지 알 수 없는, 최대치의 유사 명제라는 차이가 있다. 이번에 국제갤러리에서 열린 <In through the outdoor>의 작품들은 이러한 허구, 유사명제(pseudo-proposition)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전시는 모두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갤러리의 입구부분에는 동물들의 캐릭터 복장을 입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퍼포먼스’ 연작이 있으며, 1층 메인 홀에는 다양한 소수자들을 기념하는 ‘포트레이트’ 연작이 있다. 그리고 2005년의 <Neighbor's Wife>로부터 이어지는 ‘Read’ 연작이 1, 2층에 걸쳐 유화로 전시되고 있으며, 2층 홀에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려진 유화들과 역시 텍스트를 회전시켜 만든 조각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2층 홀의 한 복판에는 마치 전시장의 설치를 위해 작업을 하다가 남겨놓은 듯한 골판지 박스들로 이루어진 작품이 있다.

첫 번째 부분의 작품들은 2006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이미 소개된 바 있다. 주로 북한이나 그 밖의 제 3세계 국가들에서 보다 산업화된 국가들로 취업을 위해 이주했다가 불법체류자가 된 사람들을 고용하여 그들에게 디즈니나 워너브러더스 영화사에서 만든 만화영화 캐릭터를 연상시키는 의상을 입고 퍼포먼스를 하게 하는 것이 그 주요 내용이다. 이러한 내용은 작품 근처의 벽이나 받침에 텍스트로 자세히 쓰여 있다. 이 의상 안에 들어있는 것이 실제 사람인지는 금방 알 수 없다. 그러나 한참을 관찰하면 관객들은 그 안에 사람이 들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연작은 전시장 한 구석에 조각처럼 가만히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Bunny’s Sofa’의 경우에서처럼 일상적인 가구처럼 사용될 수도 있다. 작가가 설정해 놓은 지문에 의거해 그것을 바라보거나 사용하는 사람은 항상 그 안에 누군가가 금전적 대가를 위해 기꺼이 힘겨운 퍼포먼스를 감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두 번째 부분은 개연성을 떠올리기 어려운 상황에 의해 소수자(minority)의 위치에 놓여 있거나 그로 인해 비참한 운명을 맞게 된, 다소 비극적인 인물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북한의 스파이로 남하해 미군당국에서 (성적)고문을 당하다 죽은 여인, 신체장애자이며 성전환을 시도했다가 실패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 가난한 필리핀 출신 일본남성, 동티모르에서 한국으로 취업을 위해 입국한 외국인(을 대신하여 연기한 한국인 연기자), 그리고 이 전시의 오프닝에 참석한 뒤 관람객들에 의해 공개적으로 지목되는 대가로 돈을 받기로 한 창녀 등에 대한 기록들이 전시되고 있다. 실제 전시되는 작품은 해당 인물의 특수성을 가장 간결하게 드러내어 주는 사물들, 예컨대 고문당한 여인에게 사용되었던 정액이 묻은 수건들(로 만들어진 의자), 로댕의 작품을 연상시키는 포즈로 제작된 불구의 반-성전환자의 조상(彫像), 동 티모르 노동자와 인터뷰한 것으로 간주되는 허구의 비디오, 창녀를 지목한 이에게 지급된 돈이 들어있던 소형 금고 등이며, 이러한 저간의 사정을 상세하게 설명해놓은 텍스트 명판(銘板)이 한국어와 영어로 각각 벽에 걸려 있다.

여기에, 소수자는 아니지만 작가에 의해 특별히 선택된 ‘친구’를 기념하는 작품이 포함된다. 이 작품은 다른 ‘인물화’들과 달리 ‘Read’ 연작과 연계되어 있다. 즉 다른 작가의 작품들을 그대로 차용하는 방식에 따라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의 개념적 프로젝트인 ‘One and Three’ 연작을 그대로 패러디한 ‘One and Three Friends’가 그것이다. 작가는 함께 유년시절을 보낸, 지금은 교수가 된 한 여자친구의 사진과 ‘친구’의 사전적 정의 그리고 오프닝에 사진의 모습 그대로 참석한 친구를 작품으로 만들었다. ‘친구’라는 테마는 김홍석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두 번째 부분에서 다룬 소수자의 개념과 반향을 일으키기도 하고 세 번째 부분의 다른 잘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을 차용하는 작가 자신의 정체성과 반향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 번째 연작인 ‘Read’는 실제로 가장 먼저 시작된 프로젝트다. 2005년 서울의 카이스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 <Neighbor's Wife>에서 김홍석은 다른 유명작가들의 작품 도록을 스캔 한 뒤 확대출력하여 자신의 작품으로 전시했다. 이 작품들의 제목이 ‘Read’인 것은 이미지의 원래 출처를 명시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와 차용은 김홍석의 작업들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된 방식들이지만 이 작업들에서 그는 어느 정도 그것을 극단까지 밀어 붙이는 실험을 시도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진 대신 유화를 사용했는데, 그것은 그가 다른 작가 작품의 사진복제를 사용하기 위해 이미지의 프레임을 잘라내야(cropping) 했던 문제를 우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홍석은 다른 작가들의 도록에 실린 이미지들- 모리치오 캐틀란(Maurizio Cattelan)의 1997년작 'Love lasts forever'를 위시해 프랜시스 앨리스(Francis Alys)와 피터 랜드(Peter Land)의 퍼포먼스 사진들- 을 그대로 복제했는데, 유화의 일대일 복제가 아닌 조각이나 퍼포먼스의 사진을 복제한 것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복제가 아닌 ‘차용’임을 강조하고 있다. 차용은 같은 형식을 취하더라도 복제와는 다르다. 작품의 단순한 복제가 아닌 복제를 통한 지시 관계의 생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기서 제목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앞서의 ‘인물화’ 연작에서처럼 작가는 허구적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동원된 모든 속임수들을, 경우에 따라 다소 시차를 두면서, 그대로 공개한다. 따라서 ‘Read’의 제목에서처럼 속임수는 더 이상 속임수가 아닌 작가의 개념적 발언(statement)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네 번째 그룹의 유화와 조각들은 각각 텍스트를 유화와 조각의 고유한 공간에 기재하는 경로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지닌다. 유화들에는 각각 Oily Heaven Rising Ground, Five Clouds One Hole / IN DIFFERENCE / BANANAS / The (W)hole of Love / Liberty of Star / Victory / Friend / Use the Door Access and Correspondence / Sphere Out Your Side of Love (혹은 Love is Out Side of Your Sphere) / Look Faith from Both Sides 등의 문장들과 그 밖의 ‘F’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반복적인 가는 흘림체들로 쓰여 있다. 이 텍스트들은 비밀스런 내용들처럼 보이지만 작가의 다른 작품들 속에서 반복적으로 명멸하면서 상호지시적 네트워크를 만들어낸다. 예컨대, ‘One and Three Friends’에서 작가가 “현재 내 앞에서 내가 겪고 있는 고민에 대해 냉정히 들어주는 이는 항상 그래왔듯이 이방인이다. 나의 추억을 같이 나눌 수 있는 이는 항상 그래왔듯이 타인이다. 이러한 이방인을 친구라 부르는 과오는 없어야 한다.”라고 말할 때, ‘친구’와 ‘이방인’ 그리고 ‘냉정함 (혹은 무관심)’과 ‘사랑은 너의 영역 밖에 있다.’ 등의 말들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어떤 친밀함이나 확신도 세계가 강요하는 허구적 조건들 앞에서 의심될 수 있다. 김홍석은 그것을 또 다른 허구로 읽어낸다. 즉 당위적인 관계 혹은 사실들에 대해 그것의 대척점에 있는 사실을 덮어 쓰는(overwrite) 것이다.

텍스트로 이루어진 조각들은 ‘Foreigner’, ‘Fragment’와 같은 ‘F’로 시작하는 단어들(경우에 따라 비어를 의미하는)로 이루어져 있다. 모욕적인 의미가 생략된 것처럼 보이는 예쁜 사탕색깔의 단어들은 360°로 회전하면서 입체가 되었다. 토니 크래그(Tony Cragg)의 작품을 연상시키는 이 작품들은 외양과 표면의 아름다움과 달리 차가운 냉소를 담고 있다. 완벽한 회전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추상적 형태의 본질은 각각의 단어들이 의미하는 바에 함축되어 있다. 그것은 이 작품들 앞에 아무렇게나 널려있는 골판지 상자들이 세심하게 만들어진 조각들이라는 사실과 쌍을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 가장 아름다운 작품들처럼 보이는 대상의 냉담함과 가장 무의미해 보이는 사물이 드러내는 긍정의 댓구(對句)가 그것이다.

김홍석의 작품들은 허구적 이항(binôme)의 형태를 띤다. 허구들의 허구, 허구들에 대한 허구, 허구들을 지시하는 허구 등이 그것이다. 앞의 불법체류노동자 연작이나 인물화 연작에서처럼 그가 다루는 내용들은 모두 의도적인 거짓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이 거짓임은 작가의 상세한 설명이나 텍스트의 지나친 과장에 의해 분명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이 구성되는 방식은 사실인가 허구인가의 차원에서 말할 수 없는 것들을 드러낸다. 여기에서 스캔들의 계기가 생성되는데, 김홍석의 작품들이 그것들의 내적 구조에 머물지 않고 세계와 직접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그 때문이다. 작가가 자신의 개인전 오프닝에 –실은 여배우가 변장한- 창녀를 초대하는 ‘Post 1945'를 예로 들어보자. 그녀는 60만원이라는 돈을 받고 오프닝에 찾아온 관객들 사이에서 관람을 하기로 한다. 작가는 다시 관객들에게 120만원이라는 현상금을 걸고 그 창녀를 찾도록 종용한다. 전시장은 작품에 대한 관심 대신 창녀가 누구인지 찾아내려는 호기심에 휩싸인다. 실제로 이 전시 오프닝의 분위기는 이러한 열기로 인해 변질되었다. 결국 1시간 반 정도가 지난 뒤 창녀는 발각되었고 같은 순간 그녀는 황급히 돈을 받고 나서 전시장을 도망치듯 빠져나갔다. 이 어수선한 상황은 한참이 지나도록 사람들의 마음 속에 남았을 뿐 아니라, 그 다음 날 한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에 스캔들로 다루어졌다. 전시는 온데간데없어지고 창녀의 인격을 모독한 야비한 작가에 대한 비난이 인터넷과 지면들을 뜨겁게 달구었다. ‘창녀를 찾아봅시다’ 라는 선동적인 문구와 대가로 주어지는 돈은 작가 스스로 자신의 전시에 주입한 허구적인 독(毒)이다. 이 캠페인은 자칫 일급 갤러리의 관람객들을 천박하고 젠체하는 문화 소비자들로 싸잡아 비난하기 위해 고안된 것처럼 이해될 수 있었다. 또는 사회의 계급의식과 자본주의적 생리에 대한 비판을 내세워 ‘정치적으로 올바른’ 퍼포먼스를 시도했던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었다. 두 경우 모두 시도는 실패로 이어지게 된다. 아마도 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말 사실적인 것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하는 김홍석의 작품 전체의 문맥을 읽어야만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시는 (작가가 예상했을 것처럼) 제시된 사실이 일차원적 사실로 읽혀지면서 또 다른 허구적 조건을 만들어냈다.

또 다른 예로 ‘Top of the World’를 들어보자. ‘유미 다카하시’는 한국이나 일본의 대도시 중심가에서 볼 수 있는 간판으로 뒤덮인 건물을 연상시킨다. 수없이 많은 명칭들이 피부처럼 뒤덮고 있는 이 건물의 내부는 어떤 것이라도 들어설 수 있을 듯한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미 다카하시는 국외자, 기형아, 극빈자, 희귀질환자, 성전환자, 성적 소수자, 사고에 의한 장애자, 창녀, 폭행피해자, 인종차별에 의한 희생자, 아사자 등 온갖 종류의 불운과 장애들을 한 자리에 모아놓기 위해 만들어진 허구의 기표, 혹은 구조물이다. 작가는 마치 수많은 사건들의 거대한 교차로와도 같은 이 인물의 삶을 한 개의 조상(彫像)과 한국어, 영어로 작성된 명문(銘文)으로 기술하고 있다. 지나치게 과장된 이 인물의 삶에 대한 설명보다 더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은 치명적인 사고를 겪은 후 4개월 간 이 인물의 비극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드러낸 수많은 인권기관, 노동단체, 환경단체, 사회단체, 종교단체들의 명칭이다. 유미 다카하시는 전화번호부에서 베껴낸 듯한 이 불가능하리만큼 수많은 단체들의 이름을 열거하기 위해 만들어낸 구실에 불과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왜냐하면, 유미 다카하시는 어느 순간 이 세상의 모든 체제들이 필요로 하는 미증유의 지위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여기서 세계는 허구를 위한 수식이 된다.

김홍석에게 있어 허구적 구조의 기능은 현실적 세계의 현상을 드러내는데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그가 작품을 통해 만들어내는 의미의 관계망에 순환을 일으킨다. 그것은 단순한 패러디나 풍자가 아닌, 진정한 독소를 순환계에 흘려 보내는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작품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작품이 놓여있는 현실을 허구적 과정의 연속선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현실을 허구화하는 것. 이 위험한 게임을 예술적 과정 안에서 통제하는 일.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거울 사이에 현실을 끼워 넣음으로써 심연을 만들어 내는 일. 이런 것이 김홍석의 작품들 안에서 발견되는 작품의 구조적 단초들이다. 김홍석에게는 그만의 특유한 끝을 모르는 유머와 아이러니가 있다. 그의 유머와 아이러니는 자주 일상의 바깥으로 전개되는, 다소 냉소적이면서도 과장된 이야기들로 이어지곤 하는데, F로 시작하는 단어들- ‘F*ck' 뿐 아니라 ‘Fantasy’, ‘Fascinating’ 등- 을 선호하는 것도 그에 기인하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Fiction’도 거기에 포함되지 않을까 한다. 이 전시를 통해 김홍석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하는 것 같다: 우리가 예술로부터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당신들은 정말로 사실을 원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