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ted Imperfection


완전한 미완성





Gimhongsok
김홍석
Completeness of shape is an important step for someone, for others incompleteness and accidental transformation can be perceived as completion of shape. Architecture or machinery which is produced by copying exactly from the blueprints is usually praised by the collective public because its plan and the process are sublime. In the case of complete structures with a purpose of non-representation or plans which is impossible to assume what it is for, they are often neglected because aesthetic and emotional consensus cannot be reached by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Completeness is not completion. Distortion of shape and improvised result can have difficulties to achieve social consensus, but this also cannot be criticized even though it is defined as complete completion. If someone has a car accident so that the car bumper got crushed, he/she will want to recover it to the state of original shape. This kind of mind must be human common notion about completeness and the result of social learning.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artwork well made by elaborate diagram means that there is no need to have elaborate diagram for this artwork anymore.
형태의 완전함은 누군가에겐 중요한 완성의 단계이지만 어떤 이에겐 불완전함과 우연적 변형이 형태의 완성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설계 도면을 그대로 복제하여 생산된 건축물이나 기계들은 그 계획과 과정이 숭고하여 공동체로부터 공동의 찬사를 받지만, 다시 재현할 목적이 아니거나 추측이 불가능한 계획에 의해 완성된 구조물의 경우 소속공동체의 미적, 정서적 합의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소외 받기도 한다. 완전함은 완성이 아니다. 형태의 왜곡과 즉흥적 결과가 사회적 합의를 얻어내기 어려울 수도 있으나 그것 또한 완전한 완성이라고 정의한다 해서 비난 받을 일은 아니다. 만약, 어떤 이가 경미한 사고로 자신의 자동차 범퍼가 찌그러졌다면 그는 원래의 상태의 형태로 복원되기를 원한다. 이러한 마음은 완전함에 대한 인간의 통념이자 사회적 학습의 결과일 것이다. 도면에 의해 잘 만들어진 이 작품의 외형에 변형을 준다는 것은 더 이상 이 작품을 위한 도면이 필요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